▲ 구로역 새벽 작업 중 인명사고 발생
지난해 서울 경부선 구로역 작업자 사망 사고는 선로 위에서 이뤄지는 작업이 승인 범위를 넘어섰던 데다 작업 중 열차 운행 안전 관리 체계가 미흡했던 데서 빚어진 인재로 조사됐습니다.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는 지난해 8월 9일 새벽 2시 15분쯤 구로역에서 발생한 한국철도공사 장비 열차 간 충돌사고의 원인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 사고로 구로역에서 전차선 절연 장치 교체 작업 중이던 30대 작업자 2명이 숨지고, 50대 작업자 1명은 다리가 골절됐습니다.
항철위에 따르면 작업자 3명은 당시 구로역 9번 선로에서 전철 모터카에 탑승해 작업 중이었습니다.
이들은 미리 차단 승인을 받지 않은 10번 선로 방향으로 모터카 작업대를 2.6m 펼쳐 작업을 하던 중, 서울역으로 회송 중이던 선로 점검차가 시속 약 85㎞ 속도로 10번 선로에 들어오면서 작업대와 충돌했습니다.
점검차 운전원은 충돌 직전 약 20m 앞에서 작업대가 10번 선로로 넘어온 것을 발견하고 급제동을 시도했으나, 너무 가까웠던 탓에 피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항철위는 현장 조사와 재연 시험, 관계인 조사 등 종합 분석을 거쳐 '작업대가 옆 선로의 차량 운행 보호 구간을 침범한 것'을 직접 사고 원인으로 들었습니다.
다만 사고로 이어진 핵심 요인은 구로역 10·11번 선로에서 열차 운행을 차단하거나 열차 운행 사이에 작업할 시간을 확보하는 '지장 작업'을 적절하게 통제할 수 있는 운전 취급체계가 마련되지 않은 점이라고 항철위는 지적했습니다.
또 작업을 앞두고 작업계획 수립과 철도 운행 안전 관리 협의가 충분히 이뤄지지 않았고, 작업용 모터카에 대한 임시 운전 명령을 시스템에 등록하지 않아 임시 운행 열차 계획이 반영되지 않은 점도 사고에 기여한 요인이라고 밝혔습니다.
항철위는 이번 사고를 중대한 인명피해 사고로 보고 코레일에 전차선로 및 선로 내 작업 안전 강화, 정거장 구간 운전 취급 보완, 열차 운행 통제 개선 등 총 3건의 안전 대책을 마련하도록 권고했습니다.
먼저 전차선로에서 이뤄지는 작업 내용 및 구간을 명확히 해 승인된 범위 내에서만 작업이 이뤄지도록 관리체계를 강화하도록 했습니다.
운전 명령이나 임시 열차 운행 계획을 사전에 반드시 확인하고 작업자 안전 협의를 철저히 이행할 것도 주문했습니다.
아울러 사고가 발생한 정거장 구간의 운전 취급 주체를 명확히 하고 경계 표시 등을 설치해 작업 중 운행 열차와의 충돌 위험을 사전에 차단하도록 했습니다.
나아가 운전자와 작업 책임자 간 통신체계 및 보고 절차를 개선해 작업자가 열차 운행 상황을 인지하도록 할 것도 강조했습니다.
조사보고서 전문은 항철위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