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히로시마 평화기념공원
다카이치 일본 총리가 일본이 수십 년간 유지해온 핵심 안보 정책인 '비핵 3원칙'의 재검토를 추진하려는 것과 관련해 피폭자들 사이에서 분노와 당혹감이 확산하고 있다고 마이니치신문이 보도했습니다.
비핵 3원칙은 '핵무기를 보유하지도, 제조하지도, 반입하지도 않는다'는 것으로, 1967년 사토 에이사쿠 당시 총리가 표명했습니다.
다카이치 총리는 미국의 확장억제를 고려해 '반입 금지' 규정을 바꾸려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핵무기 없는 세상을 호소한 공로로 지난해 노벨평화상을 받은 피폭자 단체 니혼히단쿄 (일본 원수폭피해자단체협의회)의 다나카 사토시 대표이사는 "핵 반입은 절대로 허용해서는 안 된다"고 마이니치에 말했습니다.
그는 "핵과 인류는 절대로 공존할 수 없다는 것을 피폭국의 총리로서 인식해야 한다"며 비핵 3원칙 재검토는 평화를 위한 선인들의 노력을 부정하는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나가사키현 평화운동센터 피폭자연락협의회 가와노 고이치 의장도 비핵 3원칙 재검토 논의를 수용할 수 없다면서 "세계는 핵 폐기와 평화의 길로 나아가야 한다는 생각에 따라 조금씩 전진해 왔는데, 다카이치 총리의 생각은 역행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원폭 관련 시민단체 관계자들도 비핵 3원칙 재검토에 반대의 목소리를 냈습니다.
히로시마의 핵 정책 관련 시민단체 공동대표인 다나카 미호 씨는 "다카이치 총리가 지지율이 높을 때 재검토하려는 것 아닌가"라며 시민들이 전쟁을 바라지 않는다는 목소리를 함께 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제1야당인 입헌민주당 노다 요시히코 대표도 전날 비핵 3원칙 재검토 논의와 관련해 "당혹감이 있다"며 국회에서 다카이치 총리에게 관련 질의를 하겠다는 뜻을 나타냈다고 교도통신이 전했습니다.
노다 대표는 히로시마, 나가사키 피폭 80주년을 맞은 올해도 국제사회에서 핵 폐기에 반하는 움직임이 이어졌다고 지적한 뒤 비핵 3원칙을 세계에 더 알려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다카이치 총리는 지난 11일 중의원(하원)에서 3대 안보 문서 개정 시 비핵 3원칙을 견지할 것인지에 관한 질문에 "이제부터 작업이 시작된다. 표현을 말할 단계가 아니다"라며 명확한 답변을 피하고 재검토 가능성을 열어놨습니다.
(사진=연합뉴스)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