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핵잠' 건조 장소는 어디로?…대통령실 설명 들어보니

<앵커>

지난달 경주에서 열린 정상회담에서 이재명 대통령은 핵추진 잠수함을 위한 연료 공급을 미국에 요청했고, 회담 이후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미국에서 건조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죠. 이번 팩트시트에는 미국이 한국의 핵잠 건조를 승인했다는 명시적 문구가 담겼습니다. 다만 건조 장소가 특정되진 않았는데요. 대통령실은 한국에서 건조하는 걸 전제로 한미가 대화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보도에 김수영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달 29일, 경주 한미정상회담에서 '핵 추진 잠수함 문제'를 꺼낸 이재명 대통령.

[이재명 대통령 (지난달 29일) : 핵추진 잠수함의 연료를 우리가 공급받을 수 있도록 대통령님께서 결단을 좀 해주시면 좋겠습니다.]

오늘(14일) 발표된 조인트 팩트시트엔 "미국은 한국이 핵 추진 잠수함을 건조하는 것을 승인했다. 미국은 연료 조달 방안을 포함해 한국과 긴밀히 협력할 것이다."라는 두 문장이 명시됐습니다.

[이재명 대통령 :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위한 필수 전략 자산인 핵추진 잠수함 건조를 추진하기로 (한미 정상이) 함께 뜻을 모았습니다.]

다만 핵잠을 어디서 만들지, 건조 장소가 적시되진 않았습니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한미 정상이 '한국에서 건조'를 전제로 대화했었다고 브리핑에서 설명했습니다.

[위성락/국가안보실장 : 대화의 모든 전제가 한국의 '원잠'은 한국이 건조한다는 거였고 우리가 협조 요청한 건 핵연료에 관한 부분이었습니다.]

하지만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SNS에서 '미국 필리조선소 건조'를 공언했던 만큼, 팩트시트에 구체적 건조 장소가 안 담긴 건 논란의 불씨가 될 수 있다는 해석도 있습니다.

연료 조달도 '긴밀 협력'이라는 원론적 문구로 담겼는데, 미국의 봉인 핵연료 공급이나 한국의 자체 생산 등을 놓고 추가 협상이 중요하다는 분석입니다.

한편 정부는 공식 용어를 '원자력 추진 잠수함'에서 '핵잠'으로 재수정했습니다.

'핵잠'은 '핵무기 탑재'라는 오해를 산다며 '원잠'으로 바꾸자고 했다가 다시 국민이 익숙한 용어라며 '핵잠'으로 되돌린 겁니다.

(영상취재 : 이병주, 영상편집 : 정성훈, 디자인 : 이종정)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NAVER에서 SBS NEWS를 구독해주세요
SBS 연예뉴스 가십보단 팩트를, 재미있지만 품격있게!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연합뉴스 - 국내최고 콘텐츠판매 플랫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