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기반 거래 안전망 솔루션
경기도는 인공지능이 전세 계약 전 과정을 분석해 위험 요소를 알려주는 'AI 기반 거래 안전망 솔루션' 구축 사업을 추진한다고 13일 밝혔습니다.
이와 관련 경기도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주관한 '디지털 기반 사회현안 해결 프로젝트' 공모에 선정돼 국비 12억 원을 확보했습니다. 경기도는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과 이달 중 협약을 맺고 내년 하반기까지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입니다.
시스템은 전세 계약 임차인이 계약 전에 집 주소만 웹사이트에 입력하면 등기부·시세·근저당·신탁 등 공개 정보를 자동 분석해 계약의 안전도를 진단하고, 임대인 신용·채무 등 개인정보 항목은 임대인과 임차인의 동의하에 분석·제공합니다. 계약 후에는 등기부 변동 사항을 실시간 감시해 권리 침해나 허위 소유권 이전 등 위험을 즉시 알림으로써 피해를 사전에 차단합니다.
경기도는 전세사기 피해 예방을 위해 공인중개사와 함께 추진 중인 '경기 안전전세 프로젝트'와 연계해 시스템의 실효성과 지속가능성을 높일 계획입니다.
손임성 경기도 도시주택실장은 "최근 경기도 전세시장은 매물 부족과 가격 상승 압력으로 실수요자와 임차인의 부담이 커지고 있고 전세사기 위험도 커지고 있다"며 "이번 사업은 단순한 기술 플랫폼을 넘어 임차인의 안전을 지키고 사기 위험을 사전에 차단하는 실질적 대응책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경기도 제공, 연합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