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서울대서도 '부정행위' 적발…"챗GPT 활용"

<앵커>

연세대와 고려대에 이어 서울대에서도 집단 부정행위가 적발됐습니다. 일부 학생들이 기초 코딩시험을 치르면서 인공지능 AI를 이용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권민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건물의 한 강의실.

지난달 이 강의실 컴퓨터를 이용해 대면 방식으로 치러진 교양수업 시험에서 부정행위가 벌어졌습니다.

30여 명의 경영학과 분반 학생들이 기본적인 코딩 방법을 익히고 실습하는 기초교양수업 중간고사였는데 학생들 일부가 챗GPT에 접속한 상태로 시험문제를 푼 정황이 드러난 것입니다.

문제 풀이 과정에 AI를 활용하면 안 되는 시험이었습니다.

[서울대 관계자 : 조교가 이렇게 좀 의심스러워서 자진 신고 공지를 했던 것 같아요. 그래서 2명 정도 학생이 자진 신고를 했는데….]

부정행위를 자진 신고한 2명 외에 다른 학생 일부도 AI를 활용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해당 과목 교수는 시험 무효를 공지하는 한편, 관리감독 절차를 강화해 이번 주 재시험을 치르겠다고 밝혔습니다.

최근 연세대와 고려대에 이어 서울대에서도 비슷한 사태가 불거지면서 시험 과정에 어느 범위까지 AI를 허용해야 하는지 논란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준우/서울대 재학생 : 언제까지 이런 AI를 제한하고 또 AI를 배제하고 시험을 봐야 하는가에 대한 의문은 들었습니다.]

[이재성/중앙대 AI학과 교수 : 오픈북이라고 하면 이제 GPT를 써도 사실 상관없는 거잖아요. 인터넷을 사용하게 하면서 AI를 맞게 (활용)하려고 하면 제도적으로 아니면 인프라적으로 뭔가 지원이 있어야 된다….]

서울대 측은 "집단적 부정행위 정황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개인적 일탈로 판단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영상취재 : 양현철, 영상편집 : 안여진, 디자인 : 제갈찬)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SDF2025에 초대합니다. 11/13(목) DDP 제로 시대의 재설계:다시 쓰는 혁신
SBS 연예뉴스 가십보단 팩트를, 재미있지만 품격있게!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연합뉴스 - 국내최고 콘텐츠판매 플랫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