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가 지난 1995년 작성한 문서, 오세훈 서울시장
국내 첫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종묘 인근에 재개발을 통해 최고 145미터에 달하는 초고층 건물을 세우겠다는 서울시의 구상에 문제가 없다는 오세훈 서울시장의 주장과 엇갈리는 유네스코 측 공식 문서가 확인됐습니다.
더불어민주당 김우영 의원실을 통해 SBS가 입수한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의 지난 1995년 작성 문서에 따르면, 유네스코 자문 기관인 ICOMOS는 당시 종묘를 세계문화유산에 등재해야 한다면서 권고 사항을 함께 기재했습니다.
ICOMOS는 "종묘가 적절한 '완충 지대'에 둘러싸여 있지만, 그 너머에 상당한 도시화가 진행되고 있다"면서 "유적지 일대 시야를 해칠 수 있는 고층 건물이 인근에 들어서지 않도록 보장해 달라"라고 강조했습니다.
ICOMOS는 종묘 인근 100m로 설정된 문화재보호구역을 '완충 지대'로 언급한 건데, 즉, 100m 바깥에 대해서도 고층 건물 제한 등 일종의 보호 조치가 필요하다는 단서를 권고 사항으로 남긴 겁니다.
오 시장은 오늘(11일) 아침 CBS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종묘 경계로부터 100m 안쪽까지 영향이 없으면 괜찮다. 첫 건축물이 170m 떨어져 있다"라고 언급한 데 이어, 오전에 열린 서울시 정책 관련 기자설명회에선 "업무를 담당하는 국제기구조차도 (100m) 그 너머는 언급한 적이 없다"라고 말했습니다.
오 시장의 이 같은 주장이 종묘의 세계문화유산 등재 당시 유네스코 측 시각과 상반된 걸로 드러난 겁니다.
유네스코는 지난 4월 종묘 주변 100m 바깥에서 재개발 사업을 재추진하는 서울시에 대해 종묘 주변 환경에 대한 세계유산영향평가(HIA)를 요청하는 권고안을 국가유산청을 거쳐 발송했습니다.
유네스코 측 요청에는 서울시의 재개발 추진 계획이 종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포함됐습니다.
김우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평을·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은 "세계유산 종묘 앞 초고층 재개발은 경관·시야축을 훼손해 유네스코가 보호하는 '시각적 완정성'을 무너뜨린다"라며 "종묘가 수난이라는 말이 과장이 아니다. 서울시가 코앞 초고층을 밀어붙일 일이 아니라 멈추고 재검토할 일"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세계유산 지정 자체를 흔들 수 있다는 엄중한 우려가 제기된 만큼 고도 상향과 인허가 절차를 즉시 중지하고, 세계유산영향평가를 선행해야 한다"라고 강조했습니다.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