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WSJ "한화, 10년 내 미국서 매년 원잠 2∼3척 건조 목표"

WSJ "한화, 10년 내 미국서 매년 원잠 2∼3척 건조 목표"
▲ 필리조선소 전경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에 한화필리조선소를 갖고 있는 한화 측이 향후 10년 이내에 미국에서 매년 2∼3척의 원자력 추진 잠수함(원잠)을 만든다는 내부 계획을 갖고 있다고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0일(현지시간) 보도했습니다.

WSJ는 이날 이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한화가 신규 프로젝트 역량을 확보하기 위해 필리조선소 주변 지역에서 사업 확장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며 이같이 전했습니다.

한화오션이 지난해 12월 인수한 필리조선소는 한국과 미국이 협력하는 마스가(MASGA·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 프로젝트의 핵심으로 평가됩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한국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쇠퇴한 미국 조선업을 부활시키겠다고 공언해왔습니다.

WSJ의 이날 보도는 한국이 최근 승인 받은 원잠 건조의 장소를 놓고 일부 혼선이 빚어지고 있는 가운데 나왔습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달 30일 한국의 원잠 건조를 승인하면서 필리조선소를 건조 시설로 콕 집어 언급한 바 있습니다.

하지만 한국 정부는 원잠의 '국내 건조' 입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WSJ은 이날 기사에서 한화가 건조를 목표로 한다는 2∼3척이 한국의 원잠인지, 미 해군에 인도할 원잠인지 등은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았습니다.

이 신문은 아울러 한화필리조선소가 연간 생산량을 최대 20척으로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소개했습니다.

필리조선소에 신규 인력 수천 명을 채용하고 새 대형 크레인과 로봇 장비, 교육 시설 등을 도입한다는 게 한화 측의 계획입니다.

현재 한화필리조선소는 1년에 상선 한 척을 생산하는데, 이는 한화가 한국에서 일주일 만에 할 수 있는 것이라고 WSJ은 전했습니다.

데이비드 킴 필리조선소 대표는 한국의 접근 방식을 도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WSJ에 밝혔습니다.

WSJ은 필리조선소 프로젝트가 성공한다면 "이는 다른 어려움을 겪는 미국 조선소들의 모델이 될 수 있다"면서도 "이를 위해선 안정적인 정치적 뒷받침과 대규모 인력 투입, 충분한 자금이 필요하다"고 짚었습니다.

이어 "한화는 원잠을 만든 적이 없고, 미국은 핵 관련 기술을 동맹에도 엄격히 통제해왔다"며 이제 필리조선소에서 원잠을 건조할 가능성까지 더해지면서 사업의 규모와 난이도는 훨씬 더 커졌다고 분석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SDF2025에 초대합니다. 11/13(목) DDP 제로 시대의 재설계:다시 쓰는 혁신
SBS 연예뉴스 가십보단 팩트를, 재미있지만 품격있게!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연합뉴스 - 국내최고 콘텐츠판매 플랫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