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온실가스 감축 목표' 정부안 공개…'범위'로 제시해 논란

<앵커>

기후위기를 부르는 온실가스를 우리나라가 2035년까지 얼마나 줄일지 정부안이 공개됐습니다. 그런데 감축 비율을 단일 숫자가 아닌 범위로 제시했는데, 이걸 두고 논란도 일고 있습니다.

장세만 기후환경전문기자가 자세히 전해드립니다.

<기자>

시뻘건 쇳물을 만드는 작업이 한창인 제철 산업 현장.

막대한 석탄을 쓰다 보니 전체 산업 부문 배출 탄소의 40%를 철강 산업이 차지합니다.

석탄 대신 수소를 쓰는 기술이 추진되고 있지만, 정부와 업계의 노력 부족으로 당초 계획했던 2035년 상용화는 물 건너갔습니다.

이런 준비 부족으로 인해서 오늘(6일) 정부가 공개한 2035년 산업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 감축률은 2018년 대비 최소 24.3%로, 주요 5개 분야 가운데 가장 낮습니다.

감축률이 가장 높은 부문은 전력 분야로 68.8%, 그다음 수송 분야가 50.5%의 감축 과제를 받았습니다.

전체적으로는 2035년까지 50~60% 혹은 53~60%, 이렇게 하한선과 상한선을 둔 두 가지 범위가 정부안으로 발표됐습니다.

우리나라가 이렇게 '범위'로 감축률을 잡은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시민사회는 상한선은 포장용이고, 50 내지 53%가 정부의 목표치라며, 이는 정부가 내놨던 4개 후보안 가운데 가장 낮은 수준이라고 반발했습니다.

[최창민/플랜1.5 변호사 : 감축 비율을 가속화하지 못하면 그만큼 산업 구조의 개선 속도도 느려져 이후에 감축 부담이 다시 가중되는 악순환이….]

반면 산업계는 지난해 전문가들로 꾸려진 기술작업반이 제시한 가장 강도 높은 감축안이 48%였다면서 50% 이상이면 기업의 부담은 천문학적인 수준이 된다고 주장했습니다.

[강성욱/철강협회 본부장 : (과도한 감축 목표 설정 시) 인위적으로 철강 생산량을 줄이는 상황이 발생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국가 성장 동력 기반이 흔들릴 수 있습니다.]

정부는 다음 주 국무회의에서 최종안을 심의 확정한 뒤 이달 중순 브라질에서 열리는 유엔 기후변화 당사국 총회를 통해 국제 사회에 발표할 예정입니다.

(영상편집 : 조무환, VJ : 신소영)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SDF2025에 초대합니다. 11/13(목) DDP 제로 시대의 재설계:다시 쓰는 혁신
SBS 연예뉴스 가십보단 팩트를, 재미있지만 품격있게!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연합뉴스 - 국내최고 콘텐츠판매 플랫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