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배용 전 국가교육위원장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김건희 여사에게 금품을 건네고 공직 인사를 청탁했다는 의혹을 받는 이배용 전 국가교육위원장을 오늘(6일) 소환조사합니다.
이 전 위원장은 오늘 오전 10시 종로구 KT광화문빌딩 웨스트에 마련된 특검 사무실에 출석해 조사받을 예정입니다.
참고인 신분이지만 수사 과정에서 피의자로 바뀔 수 있습니다.
이 전 위원장은 지난달 13일과 20일 참고인 출석을 요구받았으나 발목 골절에 따른 수술 등 건강상 이유를 들며 모두 불출석했습니다.
특검팀은 이 전 위원장에게 윤석열 정권 초기 김 여사 측에 금거북이 등을 건네고 인사를 청탁했다는 의혹을 캐물을 방침입니다.
특검팀은 앞서 김 여사 모친 최은순 씨가 운영하는 요양원을 압수수색하면서 금거북이와 함께 이 전 위원장이 윤 전 대통령 부부에게 쓴 것으로 보이는 당선 축하 편지를 발견했습니다.
이에 이 전 위원장이 국가교육위원장으로 임명되는 데 김 여사가 영향력을 행사한 게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습니다.
특검팀은 국가교육위원장 재직 당시 비서로 일했던 박 모 씨 등을 조사해 이 전 위원장이 조선 후기 문인 추사 김정희의 대표작인 '세한도' 복제품을 김 여사에게 건넨 정황도 포착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특검팀은 이번 조사에서 해당 선물이 국가교육위원장 임명에 대한 답례 차원에서 전달된 것인지도 확인할 방침입니다.
이화여대 총장을 지낸 역사학자로, 박근혜 정부 시절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참여한 경력이 있는 이 위원장은 2022년 9월 국가교육위원장으로 지명됐습니다.
그는 임명 당시부터 교육계에서 적절성 논란이 일었습니다.
친일 인사를 옹호하는 등 왜곡된 역사관을 지적받은 그가 중장기 국가 교육 시스템을 설계하는 직책에 적합하지 않다는 비판이 나왔습니다.
이 전 위원장은 2023년 10월께 김 여사가 일반인이 입장할 수 없는 휴궁일에 경복궁 경회루를 방문했을 당시 동행하기도 했습니다.
이는 김 여사가 국가 유산을 사적으로 이용한 사례 가운데 하나로 언급되며 여론의 질타를 받았습니다.
김 여사는 지난해 9월 일반인에게 개방되지 않는 종묘 망묘루에서 외부인과 '차담회'를 한 사실도 드러나 특검팀에서 수사를 받고 있습니다.
특검팀은 이 전 위원장을 상대로 경회루 동행 경위 등도 조사할 것으로 보입니다.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