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정부, 첨단 의료기기 R&D에 7년간 9천400억 투자

R&D 전주기 지원을 통한 국산화 사례 (사진=식품의약품안전처 제공, 연합뉴스)
▲ R&D 전주기 지원을 통한 국산화 사례

정부가 7년간 국산 첨단의료기기 연구개발(R&D)에 약 9천400억 원을 투자합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부, 보건복지부와 내년부터 2032년까지 민자 1천25억 원을 포함해 총 9천408억 원을 투입해 '범부처 첨단 의료기기 연구개발사업(2기)'을 추진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사업은 세계 최초 또는 최고 수준의 '게임체인저'급 의료기기 6건 개발, 필수의료기기 13건의 국산화 등을 목표로 추진하는 범부처 협력사업입니다.

기초·원천 연구부터 제품화, 임상, 인허가까지 의료기기 연구개발의 전 주기를 지원합니다.

정부는 인공지능(AI)과 로봇 등 첨단기술을 활용한 의료기기 등 미래 유망분야에 대한 전략적 육성에 중점을 둬 글로벌 의료기기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높이고, 의료기기 산업을 국가 신성장 동력으로 육성할 계획입니다.

2020년부터 6년간 추진된 1기 사업에서는 총 467개의 과제가 지원받았으며 작년까지 5년간 국내외 인허가 433건(국내 331건·해외 102건), 기술이전 72건, 사업화 254건 등 성과를 거뒀습니다.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인공신장용 혈액여과기 국산화, 세계 최초 AI 기반 뇌경색 진단보조 소프트웨어 의료기기 개발 등 세계적 수준의 연구성과도 창출됐습니다.

정부는 이러한 성과가 단절되지 않고 이어질 수 있도록 후속 사업을 통해 의료기기 R&D 전주기 지원을 지속할 계획입니다.

이와 관련, 정부는 의료기기 분야 산·학·연·병 연구자들의 사업 이해도를 높이고,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관계 부처 합동으로 오늘(5일) 오후 서울 중구 프레지던트 호텔에서 설명회를 개최했습니다.

설명회에서는 사업 주요 내용과 내년 신규 과제 참여 방안, 일정 등 세부 사항을 안내하고, 질의응답 및 현장 의견수렴을 진행했습니다.

정부는 이번 사업이 국가 성장동력인 첨단 의료기기 개발을 지원하는 범부처 협력 사업이라며 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연구자들의 목소리를 적극적으로 반영할 수 있도록 연구 현장과 지속해 소통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사진=식품의약품안전처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SDF2025에 초대합니다. 11/13(목) DDP 제로 시대의 재설계:다시 쓰는 혁신
SBS 연예뉴스 가십보단 팩트를, 재미있지만 품격있게!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연합뉴스 - 국내최고 콘텐츠판매 플랫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