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타벅스
미국 주요 대기업들이 최근 잇따라 감원에 나서면서 노동 시장의 위기를 알리는 조기 경보가 울린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블룸버그 통신은 최근 커피 체인점 스타벅스와 소매 체인 타깃, 전자상거래 업체 아마존이 대규모 해고에 나서면서 노동 시장의 경고 신호일지 모른다는 우려가 경제학자들로부터 나온다고 보도했습니다.
스타벅스는 9월 사무직 직원 900명을 해고했고, 10월에는 타깃이 조직 효율화를 이유로 1천800개 일자리를 없앴습니다.
아마존도 인공지능(AI) 도입을 이유로 무려 1만 4천 명의 사무직 직원을 감원하기로 했고, 영화 스튜디오 파라마운트는 합병의 여파로 1천 명을 해고하기로 했습니다.
블룸버그는 이들 조치가 개별적인 것으로 읽힐 수 있다면서도 전체적으로 보면 각각의 허리띠 졸라매기보다는 경고 신호처럼 보이기 시작한다는 우려가 일부 경제학자들에게서 제기된다고 지적했습니다.
알리안츠 트레이드 아메리카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댄 노스는 상당수의 저명한 기업들이 꽤 큰 감원을 하고 있다며 무작위적 현상이 아닐지 모른다는 의구심이 든다고 말했습니다.
최근 미국은 연방정부 셧다운의 여파로 노동통계국 등 핵심 경제 데이터를 생산하는 부처들의 기능이 마비되면서 노동 시장의 동향을 파악하기 더 어려운 상황입니다.
재취업 알선업체 '챌린저 그레이 앤드 크리스마스'의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들어 9월까지 미국에선 95만 개의 일자리가 사라졌습니다.
이는 2020년 이후 최대 규모인데, 여기엔 10월 발표된 일련의 대규모 해고 계획이 반영되지 않았습니다.
연방정부 부문의 구조조정이 가장 충격이 컸습니다.
거의 30만 명이 정부 관련 일자리에서 해고됐습니다.
경제학자들은 최근까지 미국이 '저고용 저해고' 경제 상황에 놓여 있다고 진단해왔습니다.
하지만, 노스는 "더 이상 '저고용 저해고' 환경에 있지 않다"며 "우리는 해고하는 중"이라고 말했습니다.
블룸버그는 이런 변화의 한 원인으로 AI와 자동화를 들었습니다.
기업 관리자들에게서 해고에 대한 두려움이 사라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올해 초 링크트인이 경영자들을 상대로 벌인 설문조사에서 60% 이상이 현재 초급 직원들이 처리하는 업무 일부가 결국 AI로 넘어갈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또 많은 대기업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에 따른 비용을 가격 인상으로 전부 소비자에게 전가하는 대신 인건비 절감으로 이를 흡수하기로 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습니다.
대다수 경제학자들은 아직 경보를 울리지는 않고 있지만, 시장은 고용 상황 악화를 보여줄 신호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구직 사이트 인디드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코리 스탈은 운송과 소매업 등 비기술 부문의 추가적 해고를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이 분야의 감원이 "정말로 걱정하기 시작해야 할 곳"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