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전동휠체어·스쿠터 충전기 41% 안전 부실…화재 우려도"

"전동휠체어·스쿠터 충전기 41% 안전 부실…화재 우려도"
▲ 전동스쿠터

공중이용시설에 설치된 전동휠체어·스쿠터 충전시설의 충전기 5개 중 2개는 안전 관리가 미흡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아예 작동하지 않거나 전선이 노출돼 화재 우려가 있는 사례도 확인돼 관리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한국소비자원은 서울과 경기, 경북, 세종 등 4개 지방자치단체의 지하철 역사와 공원에 설치된 전동휠체어 · 스쿠터 충전시설의 충전기 27개를 조사한 결과 11개(41%) 충전기에서 안전 관리 미흡 사항이 확인됐다고 오늘(4일) 밝혔습니다.

충전기 11개 중 1개는 아예 작동하지 않았고 10개는 충전 단자나 선 관리 등이 미흡한 사례였습니다.

지적 사항이 없는 충전기는 16개로 조사 대상 27개의 59%를 차지합니다.

관리 미흡 사례를 구체적으로 보면 야외에 설치된 8개 중 2개는 부식되고 먼지와 거미줄로 뒤덮여 있는 등 관리가 미흡했습니다.

충전기에는 고장이나 훼손, 긴급 상황 발생에 대비해 비상 연락처를 부착해야 하지만 사용 가능한 26개 중 7개(27%)에 비상 연락처가 없었습니다.

52개 충전 단자 중 10개(19%)는 훼손됐거나 이물질이 끼어있었습니다.

충전 선 52개 중에서 5개(10%)는 피복이 벗겨지거나 내부 전선이 노출돼 합선 등으로 인한 화재 사고 우려가 있었습니다.

이용자 편의를 위한 부속 설비인 휴대전화 충전 장치는 충전기 14개에 설치돼 있었는데, 이중 절반(7개)은 단자가 훼손돼 있었습니다.

바퀴 공기주입기가 설치된 충전기 17개 중 4개(24%)는 튜브가 절단되거나 주입구가 없어 공기를 넣을 수 없었습니다.

실태 조사와 별개로 소비자원이 전동휠체어·스쿠터 이용자 75명을 대상으로 충전시설 이용 불편 사항을 설문 조사한 결과 '시설의 위치를 알기 어렵다'는 답변이 47%(35명)로 가장 많았습니다.

어느 장소에 충전 시설을 마련해야 할지 묻자 '지하철 역사'(60명·중복 응답), '관광휴게시설'(52명) 등의 답변이 많았습니다.

소비자원은 다음 달 21일 공중이용시설 교통약자용 전동휠체어·스쿠터 충전시설 설치 의무화를 앞두고 이번 조사를 진행했다며 지방자치단체에 시설 점검·보수를 권고하고 관계 부처에 충전시설의 관리·감독 강화를 요청할 계획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SDF2025에 초대합니다. 11/13(목) DDP 제로 시대의 재설계:다시 쓰는 혁신
SBS 연예뉴스 가십보단 팩트를, 재미있지만 품격있게!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연합뉴스 - 국내최고 콘텐츠판매 플랫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