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습니다.
최근 4년간 취업 심사를 신청한 퇴직 공직자의 약 91%가 취업 승인을 받았으며, 이들 중 절반 가까이가 일반 사기업에 이직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4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는 인사혁신처에 신고된 2022년 1월∼2025년 9월 취업 심사 신청자를 전수조사한 결과, 3천634명 중 3천 297명(90.7%)이 영리 사기업·협회·공공기관 등에 대해 취업 승인 또는 가능 판정을 받았다고 밝혔습니다.
출신 기관별로 국방부(12.9%)와 경찰청(11.6%)이 두 자릿수 비중으로 높았고, 검찰청(5.5%), 금융감독원(4.9%), 국세청(4.5%)이 뒤를 이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3.1%), 대통령비서실(2.7%), 국가정보원(2.2%) 출신 등도 타 분야 진출이 활발했습니다.
취업 기관을 유형별로 보면 일반 사기업이 47.5%(1천567명)로 가장 많았으며, 이 중 대기업집단 계열사가 19.2%(632명)였습니다.
이어 공공기관 17.1%(564명), 법무법인 9.5%(313명), 협회 6.9%(226명), 금융사 5.3%(175명) 순이었습니다.
퇴직 공직자가 가장 많이 취업한 대기업 집단은 한화(11.6%·73명)였습니다.
국방부 출신이 28명으로 가장 많았고,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오션, 한화시스템 등 방산 계열사에 집중됐습니다.
삼성(9.3%·59명)은 경찰청 출신(12명)이 가장 많았으며, 삼성전자서비스, 삼성전자, 에스원 등 보안·법무 관련 직군에 분포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현대자동차(7.6%·48명)는 국방부(11명)와 경찰청(5명) 출신 비중이 높았고, LIG(5.1%·32명)는 국방부(13명), 국방과학연구소(9명) 등 군 관련 인력이 다수였습니다.
이어 SK(4.4%·28명), 한국항공우주산업(KAI)(4.3%·27명), 쿠팡(3.8%·24명), LG(3.6%·23명), 카카오(3.2%·20명), 부영(3.0%·19명) 순이었습니다.
리더스인덱스는 "퇴직 공직자는 공직자윤리법에 따라 퇴직 전 5년간 속했던 부서 업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기관·조직에는 퇴직 후 3년간 취업할 수 없다"며 "국방부 출신의 방위사업체 진출이 두드러졌다"고 분석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