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습니다.
우리나라 등록 장애인 3명 중 1명은 우울 증상 등으로 정신적으로 힘든 상황에서도 대화를 요청하고 도움을 받을 사람이 없다고 답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한국장애인개발원은 이런 내용의 사회적 고립도 분석 결과를 담은 '2025 장애통계연보'를 발간했다고 밝혔습니다.
연보에 따르면 우리나라에 등록된 장애인 수는 지난해 말 기준 263만1천356명으로 전년보다 1천906명 줄었고, 전체 인구 중 비율은 5.1%였습니다.
등록장애인 중 65세 이상 고령층은 145만5천782명으로 전체의 절반이 넘는 55.3%를 차지했습니다.
19∼34세 청년층은 15만1천504명으로 5.8%, 0∼18세는 9만6천383명으로 3.7%였습니다.
장애 유형별로 보면 지체장애가 43.0%로 가장 많았으며 청각장애가 16.8%, 시각장애는 9.4%, 뇌병변장애와 지적장애가 각각 8.9% 순이었습니다.
사회적 고립도 분석 결과, 장애인들의 사회적 고립도는 비장애인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비장애인 중 '우울 등으로 인한 대화 상대가 필요할 경우 도움 요청 대상이 없다'고 답한 비율은 전체의 19.5%였지만 장애인 중 해당 비율은 33.3%에 달했습니다.
'갑자기 큰돈을 빌려야 할 경우 도움 요청 대상이 없다'는 비율은 비장애인 48.1%, 장애인 65.6%였습니다.
'몸이 아파 집안일을 부탁해야 할 경우 도움 요청 대상이 없다'는 비장애인 25.8%, 장애인 30.0%였습니다.
또한 등록 장애인 19.8%는 우울 증상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경혜 장애인개발원 원장은 "장애인의 삶이 신체·사회적 측면에서 모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신체활동 확대, 건강 관리, 사회적 관계망 지원을 결합한 통합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동영상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