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IQ 140 넘으세요?"…'영유' 한번 보내려다 학부모 '레테'까지

"IQ 140 넘으세요?"…'영유' 한번 보내려다 학부모 '레테'까지
▲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습니다.

5살 아들을 키우는 A 씨는 지난달 송파구 한 영어유치원(유아 대상 영어학원) 입학설명회에 갔다가 '듣기 평가'를 치렀습니다.

외국인 강사가 학원의 교육 방침을 한참 발표하더니, 한국인 원장이 "요즘 어머니들은 다들 능통하시죠?"라며 추가 설명 없이 넘어간 것입니다.

배우자까지 동원한 '광클릭'으로 가까스로 설명회를 신청한 데 이어, A 씨는 입학을 위한 '입금 전쟁'에 참전할지 고민 중입니다.

그는 "정해진 시간에 선착순 입금으로 입학이 정해지기 때문에 장담할 수 없다"며 "입학에 성공해도 '레테'(레벨테스트)를 통과하는 건 또 다른 문제"라고 2일 언론에 말했습니다.

학부모 B 씨 역시 지난해 마포구 한 영어유치원 입학설명회에 갔다가 황당한 경험을 했습니다.

영어유치원 측이 참석한 학부모들을 한 교실에 앉혀 놓고는 "IQ 120 넘는 분은 손을 들어보라"고 한 것입니다.

질문 수위는 "IQ 130 넘는 분", "140 넘는 분"으로 더 높아졌고, 급기야 마지막까지 손을 든 학부모에겐 "IQ가 몇이냐"고 물었다고 합니다.

B 씨는 "학부모를 레벨테스트하는 것 같아 기분이 상했고, 결과적으로는 다른 유치원을 보냈다"고 했습니다.

정부와 국회가 규제를 공언하고 있지만, 지난달부터 주말마다 본격적으로 열리는 영어유치원들의 2026학년도 입학설명회엔 여전히 '맹모'들이 몰리고 있습니다.

월 최소 100만 원 이상의 수업료에 원복, 급식비, 셔틀비 등을 포함하면 200만 원 안팎의 비용이 들지만 인기는 쉽게 사그라지지 않는 모습입니다.

1일 강북지역 한 영어유치원 입학설명회 역시 학부모들로 붐볐습니다.

설명회 초반 튼 홍보영상에선 "서울의 모든 대학이 영어 수업을 진행한다. 영어유치원을 다니지 않으면 수업도 못 듣고, 자존감도 바닥날 것"이란 말이 나왔습니다.

일종의 '공포 마케팅'부터 하는 셈입니다.

학부모들은 설명회 내내 뭔가를 받아 적거나 사진·동영상을 연신 찍어댔습니다.

지원자가 몰리는 인기 영어유치원의 경우 콧대가 높다고 학부모들은 입을 모았습니다.

유치원 측이 '갑'인 만큼 학부모가 '을'로 평가받는 입장이란 것입니다.

선착순 입금으로 줄을 세우는 것은 약과입니다.

서대문구 한 영어유치원에서 일했던 C 씨는 "설명회 때 학부모들의 옷과 가방을 봤다가 기록했다"며 "입학원서에도 학부모의 직업과 학력을 쓰도록 해 반 배치에 반영했다"고 했습니다.

그럼에도 자녀를 영어유치원에 보낸 적지 않은 학부모는 만족감을 표하고 있습니다.

영어 실력도 실력이지만, '남들보다 앞서 나간다'는 느낌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입니다.

초등학생 두 아들이 모두 영어유치원 출신이라는 이 모 씨는 "다니지 않은 친구들과 시작점이 확실히 다르다. 당장 영어학원 선택의 폭이 달라진다"며 "영어유치원에 보낸 것을 후회하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현재 국회에는 '4세 고시', '7세 고시'라고도 불리는 영어유치원 레벨테스트를 금지하는 법안(조국혁신당 강경숙 의원)이 발의돼 있습니다.

과도한 경쟁과 불필요한 사교육 부담을 줄이자는 취지지만 반대 여론도 만만치 않습니다.

권정윤 성신여대 유아교육과 교수는 "모든 학자는 영유아 시기가 무엇을 배워야 하는 시기라고 보지 않는다"며 "아이들이 스스로 동기 부여가 돼야 제대로 된 학습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SDF2025에 초대합니다. 11/13(목) DDP 제로 시대의 재설계:다시 쓰는 혁신
SBS 연예뉴스 가십보단 팩트를, 재미있지만 품격있게!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연합뉴스 - 국내최고 콘텐츠판매 플랫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