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31일) 발간된 질병관리청의 2023 희귀질환자 통계 연보에 따르면 2023년 6만 2천420명의 희귀질환자가 발생했습니다.
 신규 희귀질환자는 2022년엔 5만 4천952명으로 1년 전보다 1.7% 줄었지만 2023년에는 13.6% 늘었습니다.
 '다낭성 신장, 보통염색체우성' 4천830명, '특발성 비특이성 간질성 폐렴' 313명 등 42개 질환이 2023년 국가관리대상 희귀질환으로 새로 지정된 영향이라는 게 질병청의 설명입니다.
 2023년 신규 희귀질환자 중 유병인구가 200명 이하인 극희귀질환자는 2천510명, 4.0%였습니다.
 질환명이 없는 염색체 결손, 중복 등 새로운 염색체 이상 질환을 뜻하는 기타염색체이상질환자는 113명, 0.2%였습니다.
 2023년 신규 희귀질환자 중 그해에 사망한 이들은 총 2천93명, 3.4%이었습니다.
 발생자 대비 사망자의 비율을 연령대별로 보면 80세 이상이 16.7%로 가장 높았습니다.
 이어 70∼79세 7.3%, 60∼69세 3.1%, 1세 미만 2.6%, 50∼59세 1.4% 순이었습니다.
 2023년 신규 희귀질환자 중 진료 실인원은 총 6만 50명이었습니다.
 1인당 평균 총진료비는 약 652만 원으로, 이 가운데 환자 본인부담금은 68만 원이었습니다.
 희귀질환 중 진료비 부담이 가장 큰 단일 질환은 희귀 유전성 대사질환인 고쉐병으로, 총진료비가 3억 1천만 원, 본인부담금이 3천184만 원이었습니다.
 희귀질환자 통계 연보는 희귀질환의 발생·사망 및 진료 이용 정보를 담은 국가승인통계로, 2020년부터 발간 중입니다.
 이번 통계는 200명 초과 발생 질환에 대해서만 세부 현황을 공개하던 기존과 달리 전체 질환의 성별·연령군별·지역별 발생 현황을 담았습니다.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