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훈풍이 불던 한일 관계는 극우 성향을 보이는 다카이치 일본 총리 내각의 출범으로 변수를 맞았습니다. 과거사를 둘러싼 한일 양국의 인식 차이가 다시 불거지지는 않을지 한일 정상회담 결과가 더욱 주목됩니다.
김혜영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기자>
지난 1998년 발표된 21세기 한일 파트너십 공동선언.
오부치 당시 일본 총리는 식민 지배에 대한 '통절한 반성'과 함께 '마음으로부터의 사죄'를 공식 표명했습니다.
지난 8월, 한일 정상회담 이후 이시바 전 총리는 이 선언을 포함해 역대 내각 입장을 계승하고 있다는 입장을 발표했습니다.
[이시바 시게루/전 일본 총리 (지난 8월) : (한국과 일본은) 이웃 나라이기에 어려운 문제도 존재합니다만, 일관된 정책을 취해 나갈 것입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자민당 출신으로는 비교적 온건한 성향의 이시바 전 총리와 3차례 정상회담을 하며 과거사와 한일 협력을 분리해 대응하는 '투트랙 외교'를 추진해 왔습니다.
박근혜 정부의 이른바 일본군 위안부 합의와, 윤석열 정부의 강제동원 제3자 변제 방안에 대해서는 우리 국민으로선 받아들이기 힘든 내용이지만, 국가로서의 약속인 만큼 뒤집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고 이 대통령은 밝히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강경 보수 성향을 지닌 다카이치 총리 내각이 출범함에 따라 한일 양국은 다시 접점 모색에 나서야 하는 상황입니다.
다카이치 총리는 일본의 전쟁 책임을 축소하거나 아예 부정하는 극우적 역사관을 공개적으로 드러내 왔습니다.
2013년 아베 총리의 사례처럼 A급 전범이 합사된 야스쿠니신사 참배를 강행할 가능성도 높습니다.
당시 우리 외교부는 일본이 침략 전쟁을 정당화하고 있다며 강도 높게 비판했고, 일본대사관 총괄공사를 불러 유감을 표명한 바 있습니다.
일본군의 강제동원 강제성 부정, 역사 교과서 왜곡, 독도 영유권 억지 주장 등이 한일 갈등의 최대 쟁점으로 또다시 떠오를 수 있습니다.
정부의 대일 실용 외교 노선이 시험대에 올랐다는 관측인데, 이번 정상회담에선 셔틀 외교 지속에 대한 공감대를 확인하는 등 한일 관계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게 관건이 될 전망입니다.
(영상편집 : 이상민)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