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서울시 내년 예산 51.5조 원…역대 최대 규모

서울시 내년 예산 51.5조 원…역대 최대 규모
▲ 서울특별시청 로고

서울시는 2026년도 예산안으로 51조 5,060억 원을 편성해 서울시의회에 제출한다고 오늘(30일) 밝혔습니다.

올해 본예산(48조 1,145억 원)보다 3조 3,915억 원(7.0%) 늘어난 액수로 역대 최대 규모입니다.

재원은 '동행, 안전, 매력' 3대 중점 분야에 집중적으로 투입됩니다.

오세훈 시정 핵심인 '약자와의 동행' 사업에 올해보다 8천억 원 늘어난 15조 6천억 원을 배정했습니다.

건설된 지 30년 넘은 노후 상·하수도관로 정비에 4,500억 원을 투입하고, 역대 최대 규모인 22만 5천 개의 직접 일자리를 운영합니다.

서울시 2026년도 예산안 주요 내용

4대 급여 지원으로 기초생활보장을 확대(4조 7,645억 원)하고 돌봄SOS(361억 원)를 더합니다.

장애인 공공일자리를 전년보다 383개 늘어난 5,500개 운영(589억 원)해 자립 기반을 확충하고, 어울림플라자(98억 원), 체육센터(106억 원) 개관 등으로 장애인 사회 참여 기회를 확대합니다.

저렴한 비용의 '서울형 안심조리원'을 신규 추진(28억 원)하고 서울형 산후조리 경비·임산부 교통비 지원 사업 등에 689억 원을 투입해 둘째·셋째 이상 다자녀 가정을 추가 지원합니다.

지난달 기준 3만 6천 명이 가입한 서울런은 3.0 버전으로 개선(236억 원)해 더 많은 청소년·청년이 혜택을 보도록 합니다.

중장년 취업사관학교를 신규 운영(95억 원)해 3,800명에게 직업훈련·취업 기회를 제공하고 가치동행일자리(248억 원)로 중장년의 사회 참여 기회를 늘립니다.

어르신을 위한 복합여가문화공간 조성(25억 원), 생활권 내 공공 실버케어센터·맞춤형 데이케어센터 확충(26억 원) 등 고령 친화 정책도 강화합니다.

취약계층·청년·신혼부부 등에게 안정적인 주거를 제공하기 위해 공공임대 주택 2만 4천 호 공급을 목표로 주거 부문에 1조 622억 원을 투자합니다.

시가 주력하는 재개발·재건축 활성화 정책에도 예산을 적극투입해 양질의 주택을 빠르게 공급하겠다는 구상입니다.

서울시 2026년도 예산안 주요 내용 (사진=서울시 제공, 연합뉴스)

안전 관련해선 건설된 지 30년 넘은 상·하수관로 정비(4,477억 원), 노후 열수송관 교체(60억 원), 지하철 1∼8호선 노후시설물 교체(923억 원) 등을 추진해 기반시설 전반의 내구력을 높입니다.

디지털 안전 인프라(332억 원), 스마트 화재감지 시스템(9억 원) 등을 갖추고 대심도 빗물배수터널 3곳 굴착, 빗물펌프장 신·증설 등을 통해 상습 침수 취약지역에 대한 구조적인 해결도 이어갑니다.

GTX-A 등 수도권 광역철도와 도시철도 건설에 6,939억 원, 양재대로 등 주요 도로의 구조 개선에 1,495억 원을 투자해 수도권 전역의 생활권을 더 가깝게 연결합니다.

건강관리 앱 '손목닥터9988 2.0'을 비롯해 통곡물 섭취를 장려하는 '통쾌한 한 끼' 식당 3천 개소 인증(식품진흥기금·5억 9천만 원), 편하게 찾아 외로움을 상담하는 서울마음편의점(8억 원) 등으로 시민의 몸과 마음 건강을 챙깁니다.

50개 보건소와 서울시립대 인증센터에서 체력 측정과 건강 관리를 돕는 서울체력9988(12억 원) 운영, 펀스테이션·러너지원공간 확충(33억 원)에 더해 장충리틀야구장(35억 원), 서울월드컵경기장(90억 원) 개·보수 등 운동 인프라 개선에도 투자합니다.

청년취업사관학교, RISE(라이즈), 이공계 장학금 '3종 세트'(1,315억 원)를 추진하고 미래산업 연구개발(R&D) 예산 497억 원 가운데 100억 원을 인공지능(AI) 분야에 투입합니다.

10년간 안정적으로 대학 R&D에 투자하는 'RISE10'을 신규 추진하고, 바이오 등 신산업 육성을 위해 홍릉 첨단바이오헬스센터·스타트업 랩도 조성합니다.

서울시 2026년도 예산안 주요 내용 (사진=서울시 제공, 연합뉴스)

서울의 매력을 끌어올릴 새 랜드마크 조성에도 속도를 높입니다.

오는 2027년 운영을 목표로 남산 곤돌라 공사 및 활성화(170억 원)에 본격 착수하고, 노들섬 글로벌예술섬(287억 원), 제2세종문화회관(210억 원)도 본격 추진합니다.

생활밀착형 공원(65억 원), 한뼘정원(9억 원) 등 '정원도시 서울'과 한강·지천 주변 경관 개선, 광화문광장 일대 국가상징공간 조성(97억 원) 사업도 이어갑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따른 증가분 외에 채무를 늘리지 않아, 내년도 채무 규모는 기존 연말 전망액인 11조 6,518억 원 수준으로 유지한다고 시는 밝혔습니다.

(사진=서울시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SDF2025에 초대합니다. 11/13(목) DDP 제로 시대의 재설계:다시 쓰는 혁신
SBS 연예뉴스 가십보단 팩트를, 재미있지만 품격있게!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연합뉴스 - 국내최고 콘텐츠판매 플랫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