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마스가' 1,500억 달러…자동차 관세 15%로 인하

<앵커>

3천500억 달러 가운데 나머지 1천500억 달러는 미국 조선업 재건을 뜻하는 마스가 프로젝트에 활용됩니다. 가장 걱정이었던 자동차의 대미 수출 관세가 25%에서 15%로 낮아졌고, 품목 관세가 예고된 반도체도 다른 경쟁국과 비교해 불리하지 않게 적용하겠다는 약속을 받았습니다.

박현석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현금 2천억 달러 투자와 별개로 정부는 미국 조선업 재건, 마스가 프로젝트에 1천500억 달러를 투자한다고 밝혔습니다.

현금 투자 방식보다는 국내외 은행을 통한 대출과 보증이 주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현금 2천억 달러 역시 추가로 마스가 프로젝트에 투입될 수 있다고 밝혀 조선업 협력에 두 나라가 큰 비중을 두고 있다는 뜻을 내비쳤습니다.

[김용범/대통령 정책실장 : 조선업 (투자) 1천5백억 달러라고 해서, 앞에 현금 2천억 달러가 조선업에 아예 쓰이지 못하는 건 아니고, 2천억 달러 부분도 조선 분야로 (투자)할 수 있습니다.]

어제(29일) 협상 타결로 국내 완성차와 차 부품 업계는 한시름 덜게 됐습니다.

지난 7월 말 한미 두 나라가 구두로 큰 틀의 합의를 이뤘지만, 여전히 25%의 품목 관세가 부과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앞서 협상을 타결한 일본과 유럽연합이 지난달부터 15%의 관세만 내면서 경쟁력 저하를 우려하는 목소리는 더 커졌습니다.

현대차그룹은 어제 저녁 자동차 관세 인하에 안도감을 나타내며, 경쟁력 강화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즉각 밝혔습니다.

품목 관세가 적용 중이거나 예정된 품목을 제외한 15%의 상호관세는 그대로 유지됩니다.

우리 주요 수출품 가운데 하나인 반도체와 관련해서는 경쟁국인 타이완에 비해 불리하지 않은 대우를, 의약품과 목재에 대해서는 최혜국 대우를 받기로 했습니다.

항공기 부품과 복제 의약품은 무관세를 적용받습니다.

쌀과 쇠고기 등 농업 분야의 추가 개방을 방어한 것을 정부는 성과의 하나로 꼽았습니다.

(영상취재 : 김현상, 영상편집 : 유미라)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SDF2025에 초대합니다. 11/13(목) DDP 제로 시대의 재설계:다시 쓰는 혁신
SBS 연예뉴스 가십보단 팩트를, 재미있지만 품격있게!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연합뉴스 - 국내최고 콘텐츠판매 플랫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