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김건희 여사가 국가유산을 사적으로 유용했다는 논란에 대해, 국가유산청장이 오늘(29일) 고개 숙여 사과했습니다. 앞으로 국가유산을 더 철저하게 관리하겠다며, 김 여사와 관련한 의혹을 규명하기 위해 전수조사를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주상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오늘 국정감사에선 김건희 여사의 국가유산 '사적 유용'이 집중 거론됐습니다.
[조계원/민주당 의원 : 김건희의 발길만 닿으면 종묘가 카페가 되고, 근정전의 의자가 개인 소파로 전락하고, 고궁박물관의 수장고는 개인 서재로, 명성황후 침전은 호텔 침실로 취급됩니다.]
계속되는 질타에 국가유산청장이 고개를 숙였습니다.
[허민/국가유산청장 : 국민 누구도 이해할 수 없는 그런 사적 행위이고, 그리고 어느 누구도 해서는 안 될 특혜 사유로 생각됩니다. 다시 한번 사죄드리겠습니다.]
국가유산청장은 내부 감사 중이라며 인력을 보강해 전수 조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허민/국가유산청장 : 철저히 전수조사를 지금 감사를 진행하고 그렇게 하도록 하겠습니다.]
김 여사의 국가유산 관련 논란의 행적은 국가유산청이 확인한 것만 4건입니다.
지난해 9월 종묘에서 외부인과 '차담회'를 열고 왕의 신주를 모셔놓은 신실을 둘러봤고, 2023년 9월에는 경복궁 근정전에 들어가 임금의 어좌에 앉은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또 같은 해 3월에는 윤 전 대통령과 경복궁을 돌발 방문해 명성황후의 침전인 곤녕합에서 10분 정도 머물렀습니다.
방문 기록 없이, 국립고궁박물관 수장고에 들어간 사실도 있었습니다.
2023년 9월 경복궁에 동행했던 최응천 전 문화재청장과 이배용 전 국가교육위원장은 국감 증인이었지만 나오지 않아 오늘 국회에서 동행명령장이 발부됐습니다.
종묘 차담회 실무를 했던 당시 대통령실 문화체육비서관에겐 특검이 다음 달 4일 소환조사를 통보했습니다.
(영상편집: 윤태호)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