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마트제조혁신 3.0' 전략
정부가 2030년까지 중소 제조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인공지능(AI) 스마트공장 1만 2천 개를 구축하는 등 스마트제조혁신에 나섭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AI 기반 스마트제조혁신 3.0 전략'을 오늘(24일) 발표했습니다.
스마트제조혁신 3.0은 스마트공장에 AI를 접목해 생산성은 높이고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제조 현장을 조성한다는 것입니다.
1.0 단계는 제조 현장에 ICT(정보통신기술) 접목, 2.0 단계는 스마트공장 확산이었습니다.
스마트제조혁신 3.0에서는 AI 스마트공장 1만 2천 개를 구축해 현재 1% 수준인 중소 제조기업의 AI 도입률을 10%까지 끌어올립니다.
AI 도입을 통해 산업재해를 20% 감소시키는 등 중소 제조업의 일자리 질을 개선합니다.
아울러 제조AI 전문기업 500개를 육성해 선진국 수준의 스마트제조 기술력을 확보합니다.
이를 위한 세부 전략으로 ▲ 중소 제조기업 AI 대전환 ▲ 스마트제조산업 전략적 육성 ▲ 제조AI 내재화 인프라 확충 등을 추진합니다.
먼저 중소 제조기업의 규모와 수준에 맞춰 AI를 단계적으로 도입하고, 사전·사후 컨설팅을 강화합니다.
스마트공장 성과 평가에는 환경성과 안정성을 반영해 AI 도입을 통해 생산성 향상과 함께 친환경, 친노동적인 제조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합니다.
대기업이 보유한 거대언어모델 등을 활용해 중소 협력사의 AI 도입을 지원하는 상생형 AI 공장을 확대합니다.
개별 기업이 아닌 공급망 단위 중소기업의 인공지능 전환을 지원합니다.
지역 특화 스마트공장을 확대하는 등 지역 중심의 제조혁신 정책을 고도화합니다.
업종별 대표 사례를 창출하기 위해 부처 간 협력을 강화해 식품, 화장품 등 중소 제조기업 특화 업종에 최적화된 스마트공장 도입을 지원합니다.
중소 제조기업이 스마트공장 초기 도입 비용을 낮추고 유지보수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사스(SaaS) 기반의 구독형 스마트공장 도입을 추진합니다.
또 제조로봇 도입 등 제조공정의 자동화 지원 확대와 소공인에 대한 스마트제조 지원을 강화합니다.
소기업·소공인의 AI 활용 기반을 강화하는 것입니다.
스마트제조산업 및 전문기업 육성 체계 마련에도 나섭니다.
스마트제조 기술기업과 관련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법적 기반을 마련하고, 전문기업 지정제도 도입, AI 기반 역량 평가, 맞춤형 컨설팅 등 기업 육성 체계를 확립합니다.
AI 기반 스마트제조 기술로드맵을 수립해 AI와 디지털 전환 기술, 공정 등 스마트공장에 필요한 기술개발을 전략적으로 추진합니다.
연구개발 성과가 상용화될 수 있도록 연계 지원도 강화합니다.
아울러 스마트제조 기술기업이 글로벌 전문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창업부터 벤처투자, 판로 확대, 해외 진출 등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추진합니다.
중소 제조 현장에 제조데이터 표준화를 추진하고, 제조데이터셋을 1천 개 확보해 민간에 공개해 제조데이터 수집·확산 체계를 고도화합니다.
중소기업이 디지털 전환, AI 전환 이후에도 자체적인 활용이 가능하도록 고용 전 단계에 걸쳐 핵심 인력에 대한 AI 리터러시(정보를 찾고 평가·활용하는 능력)를 강화합니다.
스마트제조혁신 분야의 중앙과 민간, 지역 간 협력을 강화해 정책 추진체계를 고도화합니다.
중소 제조기업의 디지털 전환과 AI 전환을 원스톱으로 지원하는 '제조 AI 24' 플랫폼도 구축합니다.
한성숙 중기부 장관은 "중소기업의 스마트제조혁신은 단순한 기술 도입이 아닌 생산 방식을 혁신해 제조경쟁력을 높이고 중소기업이 겪고 있는 인력난을 완화하는 등 AI 대전환 시기에 필수적인 생존 전략"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스마트제조혁신 3.0을 통해 중소 제조기업이 AI를 적극 활용해 제조 생산성을 높이고 산업재해를 예방하여 청년이 찾아오는 '진짜 강소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사진=중소벤처기업부 제공, 연합뉴스)




동영상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