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공장 로봇·기계는 관세 빼달라"…차 업계, 미 정부에 촉구

"공장 로봇·기계는 관세 빼달라"…차 업계, 미 정부에 촉구
▲ 포드 시카고 조립공장

미국 자동차 업계가 현지시간 22일 트럼프 미국 행정부에 산업용 로봇과 기계에 관세를 부과하지 말 것을 촉구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습니다.

주요 자동차 제조사를 대변하는 미국 자동차혁신연합(AAI)은 미국 상무부가 지난달 국가안보 조사를 개시한 것과 관련해 신규 관세를 부과하지 말 것을 미국 정부에 요청했습니다.

앞서 미 상무부는 로봇과 산업기계 수입이 국가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조사에 착수했다고 지난달 24일 밝혔습니다.

조사 대상은 로봇과 컴퓨터 제어를 받는 기계 시스템으로, 산업용 스탬핑·프레싱 장비, 작업물 절단·용접 기계, 금속 가공용 특수 장비 등이 포함됩니다.

AAI는 이날 "기존 공장의 장비 비용이 증가하면 자동차 제조업체들의 전반적인 생산비가 상승하고 생산이 지연될 수 있다"면서 "신차 가격이 이미 사상 최고 수준인 상황에서 미국 소비자들에게 차량 부족과 가격 상승을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AAI는 지난해 미국에서 로봇 및 산업기계 설치의 약 40%가 자동차 생산 시설에 집중됐다는 연구 결과도 제시했습니다.

관세를 부과하더라도 미국 내 생산에 사용되는 로봇은 관세 대상에서 제외해야 한다는 것이 자동차 업체들의 주장입니다.

AAI에는 전기차 업체 테슬라를 제외하고 제너럴모터스(GM), 도요타, 폴크스바겐, 현대차 등 거의 모든 주요 완성차 업체들이 소속돼 있습니다.

테슬라 역시 관세가 투자를 저해하고 신규 공장 건설이나 기존 설비 개선 작업을 지연시킬 수 있다며 관세 부과에 반대 입장을 표명했습니다.

미국소매협회(NRF), 미국상공회의소 등도 우려의 목소리를 냈습니다.

NRF는 관세와 공급 부족이 비용과 소비자 가격을 동시에 끌어올릴 것이라면서 "회원사들이 매장·창고·물류센터에서 로봇을 더 많이 활용하고 있다"고 했습니다.

미국 상공회의소는 반도체 제조에 필요한 극자외선(EUV) 노광 장비 등 일부 핵심 기계는 해외에서만 생산된다며 관세가 "정부가 구축하려는 국내 반도체 생산 역량을 약화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중국·캐나다·일본·스위스·유럽연합(EU) 등도 해당 관세에 반대하는 의견을 냈다고 로이터는 전했습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딥빽X온더스팟
SBS 연예뉴스 가십보단 팩트를, 재미있지만 품격있게!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연합뉴스 - 국내최고 콘텐츠판매 플랫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