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코레일, '경부선 사고' 두 달 전 철도공단에 안전사고 우려 공문

코레일, '경부선 사고' 두 달 전 철도공단에 안전사고 우려 공문
▲ 청도 열차 사고지점 지나는 무궁화호 열차

지난 8월 작업자 2명이 숨진 경북 청도군 경부선 열차 사고가 있기 전에 한국철도공사(코레일)가 사고 구간의 작업자 이동로 폭이 너무 좁아 위험하다는 우려를 철도시설 개선을 맡는 국가철도공단에 밝혔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21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연희 의원실이 코레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코레일은 지난 6월 초 철도공단에 '작업자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산업안전시설 개량 사업 반영 협조 요청' 공문을 발송했습니다.

경부선 열차 사고가 발생한 지난 8월 19일로부터 두 달여 전입니다.

공문에는 전국 1천340개 구간 철도 구간에서 열차가 지날 때 작업자의 대피 공간이 부족하거나 안전 난간이 부실해 추락 사고가 우려되는 곳이 적혔습니다.

보행로를 확보해 대피 공간을 마련할 필요가 있는 곳은 1천265곳으로, 이 가운데 822곳은 철로 궤도를 부설하기 위한 토대인 '노반'의 폭이 지나치게 좁다고 코레일은 짚었습니다.

통상 선로 작업을 하는 근로자들은 작업 장소로 이동할 때 노반을 따라 걸어야 해 노반이 충분히 넓어야 열차가 접근할 때 몸을 피할 수 있습니다.

노반 폭이 부족한 곳으로 지적된 곳에는 경부선 열차 사고가 발생한 청도군 화양읍의 남성현역∼청도역 구간도 포함됐습니다.

이 구간의 보행로 폭은 0.2m에 그쳐 사람이 제대로 걷기 어려운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코레일이 철도공단에 위험 사실을 알린 뒤 신속하게 시설 개선이 이뤄졌더라면 큰 인명 피해로 이어진 사고가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사고 경위를 조사 중인 경찰은 합동 감식을 통해 측정한 선로와 열차, 노반 폭 등을 비교해 열차 접근을 인식한 근로자들이 당시 피할 공간이 있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있습니다.

이연희 의원은 "사고 이전부터 안전 우려가 제기됐으나 시설 개선이 신속하게 이뤄지지 않아 인명피해가 발생한 점은 안타까운 사실"이라며 "정부와 철도공단은 다시는 이런 비극이 없도록 작업자 안전 확보가 필요한 구간에 대한 즉각적이고 전면적인 시설 개량에 착수하고,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귀에 빡!종원
SBS 연예뉴스 가십보단 팩트를, 재미있지만 품격있게!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연합뉴스 - 국내최고 콘텐츠판매 플랫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