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인질 석방 합의했지만 하마스 무장 해제 '안갯속'…2단계 협상 '험로'

인질 석방 합의했지만 하마스 무장 해제 '안갯속'…2단계 협상 '험로'
▲ 현지 시간 9일 '가자 평화 구상' 1단계 합의 소식에 기뻐하는 이스라엘 인질의 가족들

이스라엘과 하마스가 '가자 평화 구상'의 1단계에 합의하면서 2년간 이어진 가자 전쟁 종식을 향한 첫 단추가 끼워졌습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현지 시간 8일 트루스소셜을 통해 "이스라엘과 하마스가 우리의 평화 계획 1단계에 모두 동의했다는 사실을 자랑스럽게 알린다"고 밝혔습니다.

자신이 지난달 29일 20개 항목을 담아 제시한 '가자 평화 구상' 가운데 이스라엘과 하마스가 일단 1단계 조건에 합의했다는 것입니다.

1단계의 핵심은 즉각적인 휴전과 인질-수감자 맞교환입니다.

양측이 합의를 이행하면 전쟁은 즉시 끝나고 모든 군사 활동이 중단되며 이스라엘군은 하마스의 인질 석방을 준비하기 위해 합의된 선까지 부분적으로 철수하게 됩니다.

가장 시급한 인질 석방은 이스라엘이 합의를 공개적으로 수용하는 시점으로부터 72시간 이내에 이뤄집니다.

하마스는 생존자와 사망자를 포함한 모든 인질을 석방해야 하고, 그 대가로 이스라엘은 종신형 수감자 250명과 2년 전 하마스의 급습 이후 구금된 가자지구 주민 1천700명을 풀어주게 됩니다.

현재 하마스가 억류 중인 인질은 모두 48명으로, 생존자는 20명인 걸로 알려졌습니다.

1단계가 전쟁 종식이라는 단기적 목표라면 이후 이어지는 2단계는 영구적인 평화의 토대를 다지는 장기적인 목표를 다루고 있습니다.

즉, 하마스의 무장 해제, 팔레스타인 과도정부 수립, 그리고 '새로운 가자'의 재건과 안정화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2단계 구상에 따르면 하마스를 비롯한 모든 팔레스타인 무장 파벌은 향후 가자지구 통치에 어떠한 역할도 맡을 수 없으며, 모든 군사 인프라, 무기 생산 시설, 터널을 파괴해야 합니다.

평화적 공존을 약속하고 무기를 포기한 하마스 대원은 사면받고 가자지구를 떠나고자 하는 대원은 안전한 통행을 보장받게 됩니다.

이 모든 과정은 독립적인 국제 감시단의 감독하에 진행됩니다.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부 장관은 지난 5일 ABC 뉴스 인터뷰에서 2단계의 핵심은 하마스의 무장 해제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가자지구 내부에서 로켓을 보유하고 터널을 건설하며 이스라엘 시민을 납치하고 살해하고 강간하는 조직이 존재하는 한, 평화는 존재하지 않을 것"이라며 "무장 해제는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하마스가 물러난 가자지구의 통치는 팔레스타인의 기술 관료들이 주도하는 과도정부가 맡게 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의장을, 토니 블레어 전 영국 총리가 참여하는 '평화이사회'의 감독하에 팔레스타인 기술 관료들로 구성된 위원회가 가자지구를 임시로 관리하게 됩니다.

이 위원회는 팔레스타인 자치정부(PA)가 가자지구를 통제할 자격을 갖출 때까지 임시적인 재건 및 관리의 역할을 맡습니다.

이스라엘군의 철수는 가자지구 비무장화와 연계된 합의된 기준에 따라 단계적으로 진행됩니다.

이스라엘은 가자지구를 점령하거나 합병하지 않고 이스라엘군은 점진적으로 국제안정화군에 점령지를 인계합니다.

1단계 합의에도 불구하고 2단계 합의 여부에 대한 불확실성은 여전히 큽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하마스의 무장 해제와 가자지구 통치 배제를 원하지만 하마스는 팔레스타인 국가 건설 없이는 무장 해제도 없다는 입장입니다.

또한 이스라엘이 군 병력을 완충 지대까지만 철수시키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완전한 군 병력 철수가 이뤄질 수 있을지도 미지수입니다.

'가자 평화 구상' 19번째 항목은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개혁과 가자지구 재건이 충실히 이행된다는 조건 아래 '팔레스타인 자결과 국가 지위로 가는 신뢰할 만한 경로'를 마련한다고 명시했습니다.

이처럼 평화 구상에는 팔레스타인 국가 수립에 대한 명확한 시한이나 보장이 없어서 하마스가 반발할 수 있고,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국가 수립 자체를 반대하고 있기에 이와 관련한 논의가 구체화될 경우 양측이 대립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마스는 이날 성명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에게 이스라엘의 완전한 휴전 이행을 보장할 것을 촉구하며 "합의된 내용을 미루거나 회피하는 것을 허용하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해 향후 협상 과정의 난항을 예고했습니다.

(사진=AP,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딥빽X온더스팟
SBS 연예뉴스 가십보단 팩트를, 재미있지만 품격있게!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연합뉴스 - 국내최고 콘텐츠판매 플랫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