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동 특사 스티브 위트코프
이집트에서 열리고 있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 간 평화회담에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맏사위인 재러드 쿠슈너 전 백악관 선임고문과 스티브 위트코프 중동특사가 합류키로 해 협상에 탄력이 붙을지 주목됩니다.
BBC 방송은 위트코프 특사와 쿠슈너 전 선임고문이 현지시간으로 7일 저녁 미국에서 출발해 협상 사흘째가 되는 8일에 회담장인 이집트 홍해변 휴양지인 샤름엘셰이크에 도착할 예정이라고 보도했습니다.
로이터통신은 중재국인 카타르의 셰이크 무함마드 빈 압둘라흐만 알사니 총리도 회담에 참여할 예정이라고 보도했습니다.
또 튀르키예 국가정보조직(NIO) 수장인 이브라힘 칼린도 협상에 합류키로 했습니다.
뉴욕타임스(NYT)는 트럼프 대통령이 제시한 '20개조 평화구상'의 설계에 참여한 위트코프와 쿠슈너가 회담에 가세하는 것은 진전이 있다는 점을 나타낸다는 한 관계자의 말을 전했습니다.
하마스는 트럼프 대통령의 가자지구 평화 구상에 합의하는 전제 조건으로 전쟁 방지를 보장해달라고 요구하고 있습니다.
현지시간 7일 로이터 통신은 하마스 대표단을 이끄는 칼릴 알하야는 이집트 방송과 인터뷰에서 "합의할 준비가 돼 있지만, 전쟁이 다시는 반복되지 않도록 보장할 장치가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이집트에서 이틀째 계속된 하마스와 이스라엘의 간접 방식 협상은 구체적 성과가 나오지는 않았으나 전날보다 분위기가 나아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다음 협상 자리에는 미국, 카타르, 튀르키예에서 중량급 인사들이 합류하는 만큼 협상이 진전될 가능성도 적지 않다는 전망도 제기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집무실에서 기자들에게 "가자지구뿐 아니라 중동 전체에서 평화가 이뤄질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미국은 이번 협상에서 가자지구에서의 군사작전 중단과 인질 석방 문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다만 하마스와 이스라엘이 이견을 조정할 가능성에 대해선 여전히 전망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하마스는 성명을 통해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전면 철수와 전쟁의 완전한 종식을 요구했지만, 이스라엘은 하마스의 무장해제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앞서 하마스를 포함한 팔레스타인의 무장세력들은 성명을 통해 "누구도 팔레스타인 주민의 무장을 막을 권리가 없다"며 무기를 포기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가자지구 전쟁 2년째를 맞은 이날 SNS에 "우리는 모든 전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계속 행동할 것"이라며 인질 전원의 귀환과 하마스의 가자지구 통제권 제거 등을 언급했습니다.
(사진=AP,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