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작년 영아 돌연사 47명…"폭신한 침구류 사용 말아야"

작년 영아 돌연사 47명…"폭신한 침구류 사용 말아야"
돌이 되기 전에 갑자기 숨진 아기가 지난해 50명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8일)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2024년 사망 원인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영아 돌연사 증후군으로 숨진 아기는 47명으로 전체 영아 사망(출생 후 1년 이내 사망)의 8.3%를 차지했습니다.

전년보다 사망자 수가 2명 늘었고, 전체 영아 사망에서 차지하는 비율도 0.3%포인트 높아졌습니다.

영아 돌연사 증후군은 출생 전후기 질환(45.2%), 선천 기형과 염색체 이상(18.4%)에 이어 영아 사망 원인 3위로 집계됐습니다.

인구 10만 명당 사망률은 20.4명입니다.

영아 돌연사 증후군은 만 1세 미만 아기가 갑자기 숨졌지만 의학적으로 명확한 원인을 찾지 못한 경우를 말합니다.

대부분 수면 중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안전한 수면 환경을 조성하면 돌연사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다고 강조합니다.

완벽한 예방은 어렵지만, 질식으로 추정되는 사고는 줄일 수 있다는 것입니다.

아기는 목을 가누지 못하고 호흡력이 약해, 푹신한 이불이 코를 덮거나 함께 자던 보호자의 몸이 눌리면 호흡이 막힐 가능성이 큽니다.

미국에서는 1994년 '아기 똑바로 재우기' 캠페인이 시행된 뒤 영아 돌연사 발생률이 큰 폭으로 감소했습니다.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역시 영아 돌연사 예방을 위해 돌 이전 아기는 반드시 똑바로 눕혀서 재우고, 푹신한 침구류를 사용하지 말라고 권고합니다.

또, 아기를 부모와 같은 침대에서 재우지 말고, 아기가 뒤집기를 할 수 있게 되면 포대기(속싸개) 사용을 중단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아기의 자세를 고정하는 베개 받침도 질식 위험이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습니다.

경북대 의대 권정은 교수 연구팀이 대한소아응급의학회지에 발표한 '수면 관련 영아 돌연사 및 수면 환경 요인 분석' 논문에 따르면, 2013년 9월부터 2020년 8월까지 수면 중 질식 또는 심정지로 경북대 어린이병원 응급실을 찾은 영아 12명은 모두 독립된 아기 침대를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이 중 3명은 역류 방지 쿠션이나 소파에서 잠든 것으로 확인됐고, 12명 모두 바로 누운 자세로 잠들었지만 8명이 엎드린 자세나 침대와 벽 사이에 낀 채 발견됐습니다.

연구팀은 "수면 환경은 영아 돌연사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푹신한 침대와 침구, 베개, 소파 등은 돌연사 위험을 높인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충돌 방지를 위한 유아용 쿠션 패드도 오히려 수면 중 질식 위험을 키울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귀에 빡!종원
SBS 연예뉴스 가십보단 팩트를, 재미있지만 품격있게!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연합뉴스 - 국내최고 콘텐츠판매 플랫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