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현장에선, 불이 시작된 지점을 확인하기 위해 경찰이 3D 스캐너까지 동원해 현장 곳곳을 정밀 감식했습니다. 작업자의 과실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노후 배터리 문제인지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수사하겠다는 방침입니다.
김보미 기자입니다.
<기자>
경찰 통제선 안쪽 국가정보자원관리원 건물 앞.
과학수사대 직원들이 수조에서 배터리를 꺼내 전압을 측정합니다.
발화 지점으로 추정되는 곳에서 확보한 배터리 6개 가운데 3개를 어제(29일) 국과수로 보낸 경찰은 나머지 3개도 안정화 작업을 거쳐 오늘 감식을 의뢰했습니다.
오늘 오전부터 진행된 4차 현장 감식에선 정확한 발화 지점 확인을 위해 3D 스캐너가 투입돼 건물 내부 곳곳을 스캔했습니다.
경찰 소환 대상자도 확대됐습니다.
배터리 이전 작업자 7명을 대상으로 했던 참고인 조사는 공사 업체 관계자 등 5명이 추가돼 모두 12명으로 늘었습니다.
경찰은 이들을 상대로 배터리 전원을 언제 차단했는지, 사고 직후 대처는 적절했는지 등을 조사하고 있습니다.
또 사고 당시 현장에서 작성됐던 작업 일지 등도 확보해 작업자들이 방전 작업 등 과정에서 매뉴얼을 준수했는지 여부도 확인하고 있습니다.
앞서 현장 작업자들의 진술과 달리 최초 신고 약 2시간 40분 후에 배터리 전원이 차단됐단 의혹이 제기됐는데 정부는 배터리가 아닌 서버와 전등 등에 대한 상용 전원을 차단한 것이라고 해명했습니다.
[백승두/소방청 대변인 : 저희들은 일상적인 상용 전원, 그리고 서버에 들어가는 전원을 차단을 해야만이 본격적인 주수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차단을 요청한 사항입니다.]
경찰은 공사 현장에서 발견된 전동드릴을 비롯한 작업 공구 등에 대해서도 국과수에 감식을 의뢰했습니다.
(영상취재 : 김일원 TJB, 영상편집 : 신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