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국정자원 화재로 멈춘 시스템 87개 정상화…복구율 13.4%

국정자원 화재로 멈춘 시스템 87개 정상화…복구율 13.4%
▲ 30일 오전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 현장에서 감식 관계자들이 불이 붙었던 무정전·전원 장치(UPS)용 리튬이온배터리의 상태를 살피고 있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 화재로 중단된 정부 전산망에 대한 복구작업이 나흘째 이어지고 있지만 전체 복구율은 아직 10%대에 머물고 있습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오늘(30일) 오전 10시 기준 장애가 발생한 647개 시스템 가운데 87개(13.4%)가 정상화됐습니다.

이 중 1등급 업무는 36개 중 21개(58.3%)가 정상화됐습니다.

정부와 관계기관은 화재 발생 직후부터 복구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여전히 상당수 시스템이 중단돼 국민 불편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대전센터는 2층부터 5층까지 총 9개 전산실로 구성돼 있으며, 불이 난 5층에는 7, 7-1, 8 전산실이 있습니다.

이 중 7전산실에 200개, 화재가 발생한 7-1 전산실에 96개, 8전산실에 34개 등 전체 시스템의 절반이 넘는 330개(51%)가 집중돼 피해 규모가 크다고 중대본은 전했습니다.

김민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차장(행안부 차관)은 정부세종청사에서 연 브리핑에서 "화재 영향이 적은 2∼4층 시스템은 재가동 중이며, 5층 7-1 전산실을 제외한 나머지 시스템은 분진 제거 후 재가동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어 "직접 피해를 입은 96개 시스템도 대구센터 이전과 민간 협력을 통해 복구를 추진 중"이라며 "다만 일부 시스템은 다수 기관과 연계돼 있어 복구가 다소 지연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김 차장은 "지자체 현장점검 결과 주민등록, 인감, 여권 등 국민께서 자주 많이 활용하는 각종 민원 처리는 정부24, 무인민원발급기가 정상화되면서 다소 불편하지만 큰 혼란은 없는 상황"이라고 전했습니다.

다만, 부동산거래나 사회보장정보시스템 일부 기능 장애로 온라인 서비스가 중단돼 직접 주민센터를 방문해 수기로 처리하는 등 불편은 존재한다면서 "행안부는 지자체 전담지원반을 구성해 소통채널을 확보하고, 시스템 복구와 대체수단 안내 등으로 적극 대응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중대본은 이날 브리핑 자료를 통해 장애가 발생한 647개 시스템 전체 목록과 정상화 여부, 대체수단도 함께 제공해 기관과 국민 불편을 줄여나갈 방침입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귀에 빡!종원
SBS 연예뉴스 가십보단 팩트를, 재미있지만 품격있게!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연합뉴스 - 국내최고 콘텐츠판매 플랫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