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고비나 오젬픽, 마운자로 등으로 유명한 GLP-1 계열 비만 치료제가 사람의 유전자에 따라서 효과가 다르게 나타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미국 클리블랜드 클리닉 연구팀은 뇌에 있는 단백질인 뉴로비친이라는 유전자의 형태에 따라서 사람마다 이 약의 효과가 다르다는 점을 찾아냈다고 밝혔습니다.
이 유전자는 사람이 얼마나 배부르고 배고픈지 조절하는 역할을 맡고 있는데, 활성화가 잘 된 사람들은 체중을 줄일 가능성이 82% 더 높았습니다.
반대로 이 유전자가 둔한 사람의 경우에는 50%로 성공률이 떨어졌습니다.
[다니엘 로트로프/클리블랜드 클리닉 : 이 유전자가 어떤 경우에는 체중 감량을 도와주고, 어떤 경우에는 감량을 막는다는 걸 찾아냈습니다.]
연구진은 뉴로비친 유전자가 얼마나 활성화돼 있는지 먼저 점수화를 한 다음에, GLP-1 계열 치료제 중에 어떤 걸 얼마나, 어떻게 쓸지 맞춤화된 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
[다니엘 로트로프/클리블랜드 클리닉 : 생활습관이나 성별, 조상, 다른 유전자 같은 것들과 조합해서 점수화를 하면, 비만 치료제
효과를 알 수 있는 검사를 개발할 수 있습니다.]
연구진은 다른 유전자도 이 약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를 확대할 계획입니다.
(취재 : 김범주, 영상취재 : 이희훈, 영상편집 : 최진화, 제작 : 디지털뉴스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