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9일 오전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현장에서 경찰 관계자들이 불이 붙었던 무정전·전원 장치(UPS)용 리튬이온배터리를 옮기고 있다.
정부 전산망 마비 사태를 부른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를 수사 중인 경찰이 리튬전지 전담 수사관을 감식에 투입하는 등 원인 규명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경찰 관계자는 오늘(29일) 정례 기자간담회에서 "대전청 형사과장·팀장 등 20명가량이 전담해 수사 중"이라며 "전담팀과 별개로 서울청 리튬전지 전담 과학수사요원 3명도 추가로 감식에 투입했다"고 밝혔습니다.
경찰은 그제 화재가 완전히 진압된 뒤 현재까지 세 차례 현장 감식을 하고 본격적인 수사에 착수했습니다.
경찰은 관련자 조사와 CCTV, 합동감식 자료 등을 토대로 리튬이온 배터리에 불꽃이 튄 이유와 배터리 분리 당시 구체적 상황 등을 조사할 방침입니다.
국정자원 화재로 경찰은 96개 시스템 중 민원 관련 4개를 포함해 모두 8개가 차질을 빚고 있는 것으로 파악했습니다.
국민비서 서비스가 먹통이 되면서 이와 연계된 범죄경력회보서 신청·처리 알림 기능과 우편 자동 발송은 운영되지 않고 있습니다.
유실물 종합관리시스템(로스트112)도 분실물 접수 등 문자 메시지 알림이 중단됐습니다.
실종 아동과 여성 등을 위한 사회적 약자 종합지원체계도 로그인 등 3개 기능이 마비됐습니다.
전국 경찰헬기 16대를 관리하는 경찰헬기 항공시스템 역시 제대로 기능하지 않아 부품 수리와 헬기 위치·현황 등을 수기로 작성해 가동하고 있습니다.
경찰 관계자는 "국정자원 대전 본원과 연계된 시스템 중 알림 기능이 대부분 장애를 일으키고 있다"며 "큰 틀에서 치안 활동에는 문제가 없지만 100% 정상화를 위해 업무 연속성 계획에 따라 대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