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시진핑, 북 열병식 참석 가능성 작아…한미 관계 고려"

"시진핑, 북 열병식 참석 가능성 작아…한미 관계 고려"
▲ 김정은 위원장과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간 북중 정상회담에 이어 시 주석이 마련한 연회에 참석한 모습

다음 달 10일 예정된 북한의 노동당 창건 80주년 열병식에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이 참석할 가능성은 적다는 전망이 제기됐습니다.

싱가포르의 중국 일간지 연합조보는 최선희 북한 외무상이 왕이 중국공산당 중앙외사판공실 주임 (외교부장 겸임)과 만난 가운데, 최 외무상의 방문 목적이 노동당 창건 열병식 행사에 중국 고위급 인사 초청일 것이라면서 이렇게 보도했습니다.

리밍장 싱가포르 난양이공대 국제관계대학원 교수는 신문에 "시 주석이 (열병식 참석을 위해) 평양을 직접 방문할 가능성은 적다"면서 "중국 최고 지도자가 북한 열병식에 참석하는 것은 관례가 아니며, 미국 및 한국과의 양자 관계도 고려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리 교수는 이어 "중국이 김 위원장을 전승절 80주년 열병식에 초청한 건 외교적으로 이미 잘 대우해 준 것"이라면서 "이 때문에 중국이 최고 지도자의 답방을 통해 북한에 대한 외교적 예우를 해줄 필요는 없다"고 평가했습니다.

다만 "중국이 과거보다 더 고위급을 파견할 가능성은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2015년 평양에서 있었던 노동당 창건 70주년 열병식에는 중국의 권력 서열 5위인 류윈산 중앙정치국 상무위원 겸 중앙서기처 서기가, 65주년 행사에는 서열 9위안 저우융캉 상무위원 겸 정법위 서기가 대표단을 이끌고 방북한 바 있습니다.

시 주석에 이은 중국의 권력서열 2위는 리창 국무원 총리, 3위와 4위는 자오러지 전인대 상무위원장과 왕후닝 인민정치협상회의 주석입니다.

5위는 차이치 중국 공산당 중앙서기처 서기, 6위는 딩쉐샹 국무원 부총리입니다.

딩슈판 타이완정치대 동아시아연구소 명예교수는 만약 시 주석이 방북한다면 노동당 창건 기념 열병식이 아닌 10월 말 경주에서 열리는 APEC 정상회의 이후일 것이라고 관측했습니다.

딩 명예교수는 "북한 열병식에서 중국과 러시아 정상이 김정은 위원장의 양쪽에 서 있는 장면을 피하는 동시에, 중국과 북한 간 새로운 정보 교환이나 입장 조율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딥빽X온더스팟
SBS 연예뉴스 가십보단 팩트를, 재미있지만 품격있게!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연합뉴스 - 국내최고 콘텐츠판매 플랫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