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컨테이너 운임지수, 10년만 최대 하락률…해운업계 '먹구름'

컨테이너 운임지수, 10년만 최대 하락률…해운업계 '먹구름'
▲ 평택항에 쌓여있는 컨테이너

컨테이너 해상운임 지수 하락세가 가팔라지면서 국내 해운업계에 먹구름이 드리우고 있습니다.

해운 불황이 들이닥쳤던 재작년보다는 아직 높은 수준이지만 지속적인 추세와 그 속도를 고려하면 결코 안심할 수 없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24일 국가물류통합정보센터 통계에 따르면 컨테이너 운송 15개 항로의 운임을 종합한 상하이 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지난 19일 기준 1천198.21로 전주보다 14.3%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2015년 11월 12일(-15.1%) 이후 9년 10개월 만에 최대 하락률입니다.

SCFI가 1천200 밑으로 떨어진 것은 재작년 12월 이후 1년 9개월 만입니다.

NH투자증권도 "SCFI 지수는 2016년 이후 주간 단위로 역대 최대 하락률을 기록했다"면서 "미주 서안이 31%, 동안이 23% 하락하는 등 미주 노선 운임이 급락했다"고 설명했습니다.

SCFI와 함께 글로벌 시황을 객관적으로 반영하는 것으로 평가받는 중국 컨테이너운임지수(CCFI)는 전주보다 5.07포인트 하락한 1천120.23을 기록했습니다.

문제는 컨테이너 해상운임 하락세가 올해 들어 꾸준하게 나타난다는 점입니다.

올해 2분기 평균 SCFI는 작년 동기보다 37.4% 하락한 1천645.4를 기록했는데 이는 지난 1분기와 비교했을 때도 6.6% 하락한 수준이었습니다.

CCFI는 2분기 1천162.4로 작년 동기보다 19.2%, 1분기보다 13.9%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작년까지만 해도 홍해 사태를 비롯한 지정학적 리스크와 미중 간 물동량 증가로 해상 운임이 고공 행진했지만, 올해는 미국발 무역 전쟁으로 인한 물동량 감소와 컨테이너선 공급 과잉 등으로 운임 하락이 불가피하다는 것이 업계 분석입니다.

아울러 미국은 다음 달 중순부터 중국산 선박에 입항 수수료를 부과할 방침이어서 글로벌 물동량을 줄이고 운임을 끌어내리는 악재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해운업계 관계자는 "미국으로 직접 들어가는 물량은 줄어들 수밖에 없다"면서 "물량이 제3국으로 우회해 미국으로 들어갈 수도 있겠지만 그 흐름은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는 최근 하반기 전망 보고서에서 "세계 경기둔화와 미국의 관세 영향에 의한 인플레이션으로 컨테이너 물동량이 대폭 둔화하는 상황"이라며 "올해 중으로 연초 선복량 대비 6% 이상의 신조선 인도까지 이뤄지면서 시황 악화는 불가피하다"고 분석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경제 365
SBS 연예뉴스 가십보단 팩트를, 재미있지만 품격있게!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연합뉴스 - 국내최고 콘텐츠판매 플랫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