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덴마크, '강제 피임' 피해 그린란드 여성에 보상금 지급하기로

덴마크, '강제 피임' 피해 그린란드 여성에 보상금 지급하기로
▲ 프레데릭센 덴마크 총리

덴마크가 과거 식민지였던 그린란드에서 펼친 '강제 피임' 정책의 피해 여성들에게 보상금을 지급하기로 했습니다.

영국 가디언에 따르면 메테 프레데릭센 덴마크 총리는 24일(현지시간) 그린란드를 방문해 자궁 내 피임장치(IUD) 삽입 강제시술 문제를 공식 사과하고, 이른바 '화해 기금' 조성을 논의할 방침입니다.

덴마크 총리실 성명에 따르면 "덴마크 정부는 IUD 사례에 연루된 그린란드 여성, 그린란드인이라는 이유로 조직적 차별을 경험한 그린란드인에게 개별적으로 재정 보상을 제공하기 위한 화해 기금을 설립하고자 한다"고 밝혔습니다.

프레데릭센 총리는 "(그린란드 수도) 누크에서 그린란드 의회 의장이 지켜보는 가운데 공식 사과할 수 있기를 고대한다. 이미 일어난 일을 바꿀 수는 없지만 책임을 질 수는 있으며, 과거사에 대해 화해할 조건을 마련할 수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덴마크는 이미 이 문제에 대해 지난달 공식 사과한 바 있습니다.

가디언은 프레데릭센 총리의 결정에 대해 "덴마크와 그린란드의 관계에서 역사적인 조치"라고 평가했습니다.

강제시술 피해 당사자들도 환영의 메시지를 냈습니다.

덴마크는 1700년대 이후 약 300년 동안 그린란드를 식민 통치했습니다.

1953년에는 그린란드가 식민 통치 체제를 벗어나 덴마크 일부로 편입됐고, 1979년에는 덴마크의 자치령이 됐습니다.

덴마크는 그린란드의 인구 증가를 억제하려고 1960∼1970년대에 강력한 산아제한 정책을 펼쳤습니다.

이 과정에서 덴마크 의사들이 그린란드 여성 약 4천500명에게 시술에 대해 제대로 알리거나 동의를 받지 않고 IUD 삽입술을 시행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피해 여성 가운데는 12살 소녀도 있었다고 가디언은 전했습니다.

무테 에게데 전 그린란드 총리는 덴마크의 이런 행위를 '제노사이드'로 규정한 바 있습니다.

보상금 문제와 별도로 덴마크 국가항소위원회는 이른바 '부모역량평가'(FKU)를 통과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갓 태어난 신생아를 출산 1시간 만에 그린란드인 엄마와 분리하도록 한 결정을 뒤집기로 했다고 발표했습니다.

당시 딸을 빼앗겼던 그린란드인 이바나 니콜린 브뢴룬드는 소셜미디어에 "드디어 내 심장이 온전해졌다. 딸을 어서 내 두 팔로 안고 싶다"고 기쁨을 드러냈습니다.

덴마크의 부모역량평가는 IUD 강제시술 정책과 함께 그린란드인에 대한 대표적인 인권침해 정책으로 지목됐습니다.

덴마크의 부모역량평가는 부모들을 상대로 진행하는 지능·심리 검사로, 시험이 덴마크어로 진행되고 그린란드 인구 대다수를 차지하는 이누이트족의 문화 차이가 고려되지 않아 차별적이라는 지적이 많았습니다.

(사진=AP,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딥빽X온더스팟
SBS 연예뉴스 가십보단 팩트를, 재미있지만 품격있게!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연합뉴스 - 국내최고 콘텐츠판매 플랫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