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이크로소프트 로고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전문직 비자인 H-1B 비자의 수수료를 1인당 10만 달러, 우리 돈 약 1억 4천만 원으로 대폭 인상하기로 하면서 주요 기술 기업들이 이 비자를 소유한 직원들에게 해외여행을 피하고 미국에 머물 것을 긴급하게 요구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현지시간 21일 보도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MS)와 구글, 아마존 등은 직원들에게 이메일을 보내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 19일 밝힌 새로운 비자 규정이 발효되기 전에 미국으로 돌아오고 출국 계획은 취소하라고 통보했습니다.
새 규정 발표 이후 논란이 커지자, 백악관은 대폭 인상되는 이번 수수료가 신규 비자에만 적용되고 기존 비자 소지자의 미국 출입국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며 진화에 나섰지만, 이번 제도의 적용과 집행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미 전역 기업들에 혼란과 불안이 확산했다고 블룸버그 통신은 전했습니다.
이에 기업과 이민 전문 변호사들은 H-1B 비자 소지자들에게 신중히 행동할 것을 조언하고 있습니다.
MS는 지난 19일 트럼프 행정부 발표 이후 자사의 H-1B 비자 직원들에게 "당분간 미국 내에 체류해야 한다"고 안내했습니다.
MS는 또 추가 이메일을 통해 직원들에게 백악관의 설명이 "현재 중요한 개인 사유로 해외에 있는 동료들의 귀국을 보장할 것"이라면서도 "향후 며칠간 입국장에서 일부 혼선이 있을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비자 소지자들은 갑작스러운 규정 변경에 충격을 받고 혼란스러워하고 있습니다.
영국에서 샌프란시스코 베이 지역으로 이주해 새 직장으로 옮기려던 34살의 로런스는 행정명령 서명 시점에 이미 짐을 싸고, 자동차를 팔고, 집을 임대주고, 가족·친지와 작별 인사를 한 상태였지만, 회사의 이민 변호사들로부터 "추가 정보를 기다리며 영국에 머물라"는 조언을 들었다고 전했습니다.
구글의 한 직원은 가족 방문을 위해 계획했던 도쿄 여행을 백악관 발표 이후 취소했고, 아마존은 H-1B 소지자의 배우자와 자녀에게 발급되는 H-4 비자 보유자들에게도 미국에 머물 것을 권고했습니다.
USCIS 데이터베이스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시작된 2025 회계연도에 들어서 올해 6월 30일까지 가장 많은 H-1B 비자를 할당받은 기업은 '아마존닷컴'으로 1만 44명에 달합니다.
아마존 계열사 중 클라우드 업체인 '아마존웹서비스'와 '아마존개발센터US'까지 합치면 아마존의 올해 H-1B 비자 할당은 1만 4천 명을 넘습니다.
인도 뭄바이에 본사를 둔 정보기술 서비스·컨설팅 기업 '타타 컨설턴시'가 5천505명으로 두 번째로 많고, MS 5천198명, 메타 5천123명, 애플 4천202명, 구글 4천181명이 뒤를 이었습니다.
(사진=AP,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