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KT 무단 소액결제' 서울·경기 확산…초기 집계 크게 늘어

'KT 무단 소액결제' 서울·경기 확산…초기 집계 크게 늘어
▲ 구재형 KT 네트워크부문 네트워크기술본부장이 지난 18일 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에서 소액결제 피해 관련 대응 현황을 발표하고 있다.

KT 무단 소액결제 피해가 당초 알려진 서울 서남권과 경기 일부 지역을 넘어 서울 서초구·동작구, 경기 고양시 일산동구 등으로 확산된 것으로 뒤늦게 드러났습니다.

무단 결제 피해가 경기 광명·부천·과천, 서울 금천·영등포, 인천 부평 일대에 국한된 것으로 알려졌지만 실제로는 피해 범위가 더 넓은 것으로 확인되면서 KT 소액결제 이용자 전수 조사와 수사 확대 요구가 커지고 있습니다.

오늘(20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황정아 의원(더불어민주당)이 KT에서 제출받은 피해 지역 자료에 따르면, 서울 동작구·서초구·고양시 일산동구도 피해 지역으로 포함됐습니다.

KT가 처음 피해 발생 시점으로 지목한 지난달 5일부터 8일까지 나흘간 서울 동작구·관악구·영등포구에서 15명이 26차례에 걸쳐 962만 원 피해를 봤습니다.

범행 주체들은 8일과 주말을 건너뛴 11일 이틀 동안 서울 서초구에서 3명을 상대로 6차례 227만 원을 무단 결제했습니다.

이어 12∼13일 경기 광명시, 15일 서울 금천구, 20일 경기 고양시 일산동구, 21일 경기 과천시에서 차례로 무단 소액결제가 일어났습니다.

나흘간 휴지기를 가진 뒤 26일부터는 금천구, 광명시, 경기 부천시 소사구, 인천 부평구 등에서도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황 의원은 "범행 지역과 시기에 대한 구체적 정보를 KT가 더 빨리 공개했다면 수사에 도움이 됐을 사실이 많은데 이제야 찔끔찔끔 주요 정보를 내놓는 것은 이해되지 않는다"고 비판했습니다.

KT 무단 소액결제 사건이 처음 알려진 지난 4일과 5일에도 100건 가까운 무단 결제가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비정상적 결제 시도 차단 직전까지 무단 소액결제가 상당 규모 진행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4일에는 이용자 36명에게서 83건(2천499만 원), 5일에는 11명이 14건(550만 원)의 무단 소액결제 피해가 있었습니다.

앞서 KT는 4일과 5일에는 피해 건수가 없다고 국회에 보고했지만, 1차 발표에서 피해자 수를 278명으로 집계했다가 이후 4일과 5일 피해를 포함해 362명으로 정정했습니다.

피해 건수도 527건에서 764건으로 늘었습니다.

KT는 "5일 새벽 비정상적인 소액결제 시도를 차단한 이후 무단 소액결제 피해는 발생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KT 피해 현황이 자꾸 확대되는 것은 자동응답전화(ARS) 중심의 자의적·소극적 대응 때문이라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KT는 해킹범이 피해자 휴대전화로 가야 할 ARS 신호를 탈취해 소액결제에 성공한 사례만 주목해 피해 현황을 ARS 수신 상황만으로 집계하고 있습니다.

황 의원은 "KT 해킹 사태의 전모가 드러날수록 KT가 거짓 변명만 늘어놓았다는 사실이 확인되고 있다"며 "지금이라도 소액결제가 이뤄진 모든 고객에게 직접 결제 현황을 고지하고 피해 전수조사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또 "고의적 축소·은폐 시도를 반복한 KT에는 SKT 때보다 더 강력한 제재와 피해 배상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귀에 빡!종원
SBS 연예뉴스 가십보단 팩트를, 재미있지만 품격있게!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연합뉴스 - 국내최고 콘텐츠판매 플랫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