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여야, 원내대표 제외하고 3+3 민생경제협의체 가동

여야, 원내대표 제외하고 3+3 민생경제협의체 가동
▲ 더불어민주당 한정애 정책위의장이 15일 서울 성북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열린 제1차 핵심규제 합리화 전략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이 '3+3 민생경제협의체'를 구성하고 오는 19일 첫 회동을 합니다.

민주당과 국민의힘은 각각 정책위의장·원내수석·정책위수석이 참여하는 민생경제협의체를 구성해 현안을 논의합니다.

민주당에서는 한정애 정책위의장·최기상 정책위 사회수석부의장·허영 원내정책수석부대표가, 국민의힘에서는 김도읍 정책위의장·박수영 정책위 수석부의장·김은혜 원내정책수석부대표가 각각 참석합니다.

이는 지난 8일 이재명 대통령의 여야 지도부 초청 오찬에서 정청래 민주당 대표와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가 민생경제협의체를 구성하기로 합의한 데 따른 것입니다.

협의체를 통해 여야가 대선 당시 공통 공약과 입법 문제를 함께 논의하면서 협치를 꾀한다는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국민의힘 김도읍 정책위의장이 2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여야는 원내대표를 포함한 민생경제협의체를 구성·운영하자고 의견을 모으는 과정에서 최종적으로 원내대표를 제외했는데, 국민의힘 송언석 원내대표가 지난 9일 민주당 정청래 대표의 국회 교섭단체 대표연설 도중 내뱉은 발언이 영향을 줬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당시 정 대표가 "노상원 수첩이 현실로 성공했더라면 이재명 대통령도, 저도 이 세상 사람이 아니었을 것"이라고 말하자 국민의힘 의석 쪽에서 '제발 그리됐으면 좋았을걸'이라는 말이 흘러나왔는데, 이 발언 당사자가 송 원내대표로 지목됐습니다.

송 원내대표는 이에 대해 오늘(17일) "본의 아니게 그런 일이 발생한 것은 유감"이라고 입장을 표했습니다.

송 원내대표는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 지난주 여야 원내대표 간 3대 특검법과 정부조직법 관련한 합의를 할 당시 원내대표·정책위의장·정책수석 등 양당 3명씩 3+3 민생경제협의체를 구성하자고 잠정 합의했었다"며 "이후 민주당 측에서 원내대표는 빠지는 게 좋겠다고 해서 우리도 동의했다"고 말했습니다.

(사진=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NAVER에서 SBS NEWS를 구독해주세요
SBS 연예뉴스 가십보단 팩트를, 재미있지만 품격있게!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연합뉴스 - 국내최고 콘텐츠판매 플랫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