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타이완 15∼24세 여성 46% "아이 안 낳겠다"

타이완 15∼24세 여성 46% "아이 안 낳겠다"
▲ '타이완의 명동'이라 불리는 타이베이 시먼딩 거리

타이완 15∼24세 여성의 거의 절반 정도는 장래에 아이를 낳지 않겠다는 생각인 걸로 조사됐습니다.

자유시보 등 타이완 언론은 이달 초 정부가 공개한 지난해 여성의 생활 상황 조사 결과를 인용해 이같이 보도하고, 아이를 낳지 않겠다는 응답자의 비율이 매년 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15∼64세 노동연령인구 가운데 아이를 낳지 않겠다는 여성의 비율은 2019년 19.2%에서 지난해 26.6%로 7.4%P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연령대별로는 아이를 낳지 않겠다는 응답 비율은 15∼24세 여성의 경우 2019년 31.3%에서 지난해 45.9%로 14.6%P 늘어났고, 경제활동이 왕성한 25∼34세 여성은 같은 기간 27.3%에서 37.4%로 10.1%P 증가했습니다.

35∼44세 여성은 18.1%에서 25.9%로, 45∼54세 여성은 14.6%에서 21.2%로, 55∼64세 여성은 8.6%에서 12%로 각각 증가했습니다.

출산을 원치 않는 이유로는 '경제적 부담이 너무 커서'(60.3%), '아이 때문에 기존의 삶을 바꾸고 싶지 않아서'(49.4%), '아이의 교육과 미래의 발전에 대한 걱정 때문에'(34.3%), '아이 돌보는 시간이 부족할까 걱정돼서'(24.7%) 등을 들었습니다.

조사 결과 여성의 경제활동 증가로 경제적 역량이 커졌음에도, 아이가 있는 기혼 여성은 집안일과 육아에 무보수로 매일 평균 4.41시간을 사용해 남성 배우자의 1.72시간에 비해 2.6배나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게다가 임신과 양육으로 인한 이직 여성이 복직하기까지 평균 약 3년 9개월이 걸려 경력 단절에 따른 부담이 큰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앞서 타이완 국가발전위원회(NDC)는 최신 인구 추정 보고서에서 올해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의 20% 이상을 차지하는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이어 지난해 신생아 수는 13만 4천856명으로 2016년(20만 8천440명) 이후 9년 연속 감소했고, 2040년 이후에는 10만 명 이하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처럼 저출산에 따른 노동력 감소 우려가 커지자 타이완 입법원(국회)은 지난 7월 노동기준법과 중·고령자 취업촉진법 등 관련 법률 개정안을 통과시켜 65세인 정년을 연장할 수 있는 법률적 근거를 마련하기도 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딥빽X온더스팟
SBS 연예뉴스 가십보단 팩트를, 재미있지만 품격있게!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연합뉴스 - 국내최고 콘텐츠판매 플랫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