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한·베트남 무역 국장급 연쇄 회담…정상회담 후속 조치

▲ 8월 11일 협의의사록 교환하고 있는 김정관 장관(왼쪽)과 베트남 산업무역부 장관 

산업통상자원부는 베트남 재무부·산업무역부와 잇따라 화상 회의를 열고 지난달 한·베트남 정상회담 후속 조치를 논의했다고 밝혔습니다.

산업부는 먼저 지난 12일 김종철 산업부 통상협력국장과 도 반 수 베트남 재무부 외국인 투자청 국장이 수석 대표로 참석하는 국장급 회의를 열었습니다.

이 회의에서 양측은 베트남에 진출한 한국 섬유 기업의 미환급 부가가치세 문제의 조속한 해결과 HD한국조선해양의 두산비나 인수에 따른 현지 특별 인센티브 승계 등 문제에 대해서도 협의했습니다.

베트남 재무부는 "관련 애로사항은 지방 정부 소관이나, 재무부 차원에서 직접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며 "그 밖에 안정적인 전력 공급, 인프라 확충 등 한국 기업의 애로사항에 대해서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양측은 글로벌 최저한세 시행 관련 지체 없는 지원 등 기업 애로 해결 방안과 베트남 재무부에서 제안한 공급망·에너지 및 인프라 개발 협력, 양 부처 산하 공기업 간 협력 방안에 대해서도 협의했습니다.

산업부와 베트남 재무부는 이번 회의를 시작으로 양 부처가 담당하는 외국인투자, 기업지원, 원전·공급망 등 인프라 개발 분야에서 지속해 협력하기로 했습니다.

산업부는 오늘은 베트남 산업무역부와 '제4차 코리아 베트남 플러스 공동작업반' 회의를 화상으로 진행했습니다.

지난 2023년 9월 출범한 공동작업반은 '2030년 한·베 교역 1천500억 달러 달성'을 목표로 양국 정부, 상무관, 무역 지원기관 등이 참여하는 국장급 핫라인 협의 채널입니다.

교역 투자뿐 아니라 국내 기업의 애로 해결 방안도 함께 논의했습니다.

오늘 회의에서 양측은 양국 교역ㆍ투자 현황을 점검하고 교역 확대 방안, 원전 인력양성 업무협약(MOU) 이행계획 등 정상회담 후속 조치를 점검했습니다.

한국 측은 베트남에 진출한 국내 재생에너지 투자기업들의 전력 판매 관련 애로 해결 및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사업 참여를 위한 제도 보완 등을 요청했고, 베트남 측은 유관 부처 및 기관과 해결 방안을 적극 모색 중이며 그 결과를 신속히 공유하겠다고 했습니다.

산업부 관계자는 "우리 투자 기업들이 베트남 현지에서 예측 가능한 경영 활동을 영위할 수 있도록 장관급 산업공동위원회 및 자유무역협정(FTA) 공동위 등 다층적 협의 채널을 통해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경제 365
SBS 연예뉴스 가십보단 팩트를, 재미있지만 품격있게!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연합뉴스 - 국내최고 콘텐츠판매 플랫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