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케이팝 데몬 헌터스에 잠깐 등장하면서 깊은 인상을 남긴 게 까치와 함께 다니는 호랑이죠. 조선의 민화에서 비롯된 캐릭터인데요. 케데헌 열풍 이후 굿즈에서 전시까지 인기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주상 기자입니다.
<기자>
등장하는 분량은 얼마 안 되지만 강렬한 인상을 남긴 신 스틸러, 까치와 함께 다니는 호랑이 '더피'입니다.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만든 비슷한 모양의 기념품은 늘 품귀 상태입니다.
하루 300개 한정 판매인데 아침에 문 열자마자 줄이 길게 늘어섭니다.
[박예원 (12살) : 원래 사고 싶었던 건데, 막 굿즈 가진 기분이라 되게 기분이 좋아요.]
[조성하 (11살) : 음 뭔가 좀 황홀하다? 이것 때문에 거의 모든 사람이 오픈런을 할 정도고, 줄까지 서니까.]
호랑이 기념품은 국립중앙박물관의 소장품인 '호작도'를 모티브로 했습니다.
까치와 호랑이가 함께 있는 우리 전통 민화입니다.
까치 호랑이, 호작도는 조선 후기 민화의 대표적인 양식입니다.
호랑이는 액운을 막는 벽사를, 까치는 복을 부르는 길상을 상징합니다.
[조지윤/리움미술관 소장품연구실장 : 화려한 색채와 단순화된 표현, 추상적인 표현과 또 한편으로 해학성, 그리고 세태를 풍자하는 풍자까지 다양한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해학적인 요소가 가득한 이 호작도는 '피카소 호랑이'라고도 불리는데, 88서울올림픽 마스코트 호돌이의 원형이었습니다.
현존하는 우리나라 까치호랑이 그림 중 가장 오래된 작품인 1592년 작 '호작도'는 이번에 처음 공개되는 작품입니다.
민화 까치호랑이의 원형인 산에서 내려오는 호랑이 단원 김홍도의 '송하맹호도'와 호피 장막 안쪽에 문인화의 요소를 넣은 '호피장막도'까지, 호랑이는 조선 미술의 주요 요소였습니다.
애니메이션 케데헌이 조선 민화의 전통을 재조명하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조춘동, 영상편집 : 박나영, VJ : 오세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