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오른쪽)가 7월 7일 워싱턴 DC 백악관 블루룸에서 열린 만찬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을 노벨 평화상 후보로 지명하기 위해 노벨 평화상 위원회에 보낸 서한을 전달하고 있다.
노르웨이 노벨위원회가 노벨평화상에 눈독을 들이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 대한 입장을 밝혔습니다.
크리스티안 베르그 하르프비켄 노벨위 사무총장은 현지시간 12일 AFP 통신 인터뷰에서 "물론 우리도 특정 후보에 언론 관심이 많은 걸 안다"고 말했습니다.
베르그 하르프비켄 총장은 "위원회가 진행되는 논의에서 그런 것에 휘둘릴 일은 정말 전혀 없다"며 "위원회는 개별 후보를 각자 자질에 따라 검토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올해 집권 2기를 시작한 이후 평화 중재자를 자처했는데 미국 안팎의 언론은 이를 노벨평화상 욕심으로 해석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은 오바마 대통령이 2009년 영예를 안은 것을 언급하며 자신도 자격이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올해 7월 노르웨이 재무부 장관에게 전화를 걸어 관세를 논의하자며 노벨평화상 욕심을 드러내기도 했습니다.
노벨평화상 후보를 심사하고 선정해 발표하는 노르웨이 노벨위는 과거 정치적 압력에 노출된 적이 있었습니다.
노벨위는 노르웨이 정부의 조심스러운 경고를 무시하고 2010년 평화상을 중국 반체제인사 류샤오보에게 수여했습니다.
이에 중국은 노르웨이산 연어 수입을 중단하는 등 통상제재를 가했고 양국은 수년 동안 외교적 마찰을 빚었습니다.
베르그 하르프비켄 총장은 "노벨위는 완전히 독립적으로 활동하고 후보를 심사할 때 그런 것(외부 압력)을 고려하지 않는다"고 재차 강조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노벨평화상 자격을 두고는 논란이 많습니다.
외형적으로는 분쟁 해소에 적극적 시도를 하는 게 사실이지만 개입의 영향이 얼마나 긍정적이고 기여도가 얼마나 높은 지를 두고 뒷말이 무성합니다.
게다가 종전 협상을 제외하면 극단적 자국 우선주의를 앞세워 해외 원조, 난민보호, 법치나 민주주의 확산 등을 저해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기도 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3일 미국 CBS뉴스 인터뷰에서 노벨평화상에 대한 질문이 나오자 "거기에 할 말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내가 할 수 있는 모든 것은 전쟁을 끝내는 것이고 나는 관심을 추구하지 않고 단지 생명을 살리기를 원할 뿐"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쟁범죄 혐의로 국제형사재판소(ICC)에서 체포영장이 발부된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 등의 추천을 받아 올해 후보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후보는 세계 각국 의원, 장관, 과거 수상자, 일부 대학교수 등이 추천할 수 있는데 올해 접수된 인물이나 기관은 338명(곳)입니다.
베르그 하르프비켄 총장은 "수상자가 되는 게 위대한 성취"라며 "후보로 추천된다고 해서 반드시 위대한 성취인 것은 아니다"고 말했습니다.
올해 노벨평화상 수상자는 다음 달 10일 발표됩니다.
(사진=게티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