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위대 방화로 불타는 네팔 대통령 관저
네팔에서 소셜미디어(SNS) 접속을 차단한 정부 조치에 반발해 시작된 대규모 반정부 시위로 50명 넘게 숨진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현지시간 12일 AFP 통신 등에 따르면 네팔 경찰은 최근 수도 카트만두를 비롯해 전국에서 발생한 시위로 51명이 숨졌다고 밝혔습니다.
전날까지 네팔 정부는 사망자가 34명으로 파악했지만, 경찰이 이날 추가로 집계한 결과 17명이 더 늘었습니다.
사망자 중 시위대는 21명으로, 이들 대다수는 시위 첫날인 지난 8일 경찰과 충돌하는 과정에서 숨졌습니다.
사망자 명단에 경찰관 3명도 포함됐으며 시위로 혼란한 틈을 타 교도소에서 탈옥한 수감자들이 네팔 보안군과 충돌하는 과정에서 숨지기도 했습니다.
당시 탈옥한 수감자들은 국경을 넘어 인도로 넘어가려 시도했고 일부는 인도 국경 경비대에 체포됐습니다.
비노드 기미레 네팔 경찰 대변인은 AFP에 "수감자 1만 3천500명이 탈옥했고, 일부는 체포됐다"며 "나머지 1만 2천533명은 여전히 도주 중"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람 찬드라 포우델 대통령과 시위 대표단, 군부 등은 이번 시위로 사임한 샤르마 올리 총리를 대신해 임시정부를 이끌 지도자를 선출하는 방안도 계속 논의하고 있습니다.
의원내각제인 네팔에서는 총리가 행정수반으로 실권을 갖고, 대통령은 의전상 국가 원수직을 수행합니다.
포우델 대통령과 아쇼크 라즈 시그델 육군 참모총장에게 최근 조언한 헌법 전문가는 로이터에 "수실라 카르키(73) 전 대법원장이 임시 총리로 지명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이번 시위를 주도한) 'Z세대'가 그를 원한다"며 "오늘 중에 결정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최근 네팔 시위는 정부가 지난 5일 유튜브와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엑스 등 26개 SNS의 접속을 차단한 데 반발해 시작됐습니다.
네팔 정부는 가짜 뉴스가 확산한다며 당국에 등록하지 않은 SNS를 사용하지 못하게 했고, 청년들은 온라인에서 벌어지는 반부패 운동을 억누르려는 시도라고 비판했습니다.
특히 부패 척결과 경제 성장에 소극적인 정부에 실망한 젊은 층이 대거 이번 시위에 가담하면서 카트만두뿐만 아니라 다른 도시로도 확산했습니다.
SNS에서는 사치품과 호화로운 휴가 생활을 과시하는 고위층 자녀들의 모습과 생활고에 시달리는 이들을 대조하는 영상이 빠르게 공유돼 젊은 층의 분노를 키웠습니다.
경찰은 지난 8일부터 최루탄을 비롯해 물대포와 고무탄을 쏘며 강경 진압을 해 사상자가 늘었고, 이후 시위대가 대통령과 총리 관저에 불을 지르는 등 상황이 더 악화했습니다.
(사진=AP,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