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한미 관계 흔들어"…친트럼프 매체도 나서 비판한 이유

<앵커>

대규모 한국인 구금 사태에 대해 미국 안에서도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현지에서는 무리한 이민자 단속에 항의하는 시위가 벌어졌고, 친트럼프 매체까지 이번 단속이 한미 관계를 뒤흔들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 내용은 김경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이민 당국의 급습으로 한국인 300여 명 등 노동자가 대거 끌려간 조지아주 서배나 현장 앞입니다.

무차별적 이민자 단속에 항의하는 시위가 벌어졌습니다.

[에스테반 에르난데스/시위대 : 이들은 노동자들입니다. 우리가 매일 운전하는 자동차를 만드는 사람들입니다. 이들은 범죄자가 아닙니다.]

인권 유린뿐 아니라 지역 경제를 살리는 초대형 프로젝트에 온당한 조치가 아니라는 지적도 있습니다.

[다니엘라 로드리게즈/이민자 인권 단체 대표 : 우리의 집과 자동차, 그리고 미래를 만드는 사람들이 이런 식으로 대우받는다면 우리는 결코 스스로를 문명 사회라 부를 수 없습니다.]

현지 언론들은 미국의 제조업 살리기가 이민 정책과 충돌한 결과라는 분석과 함께 500조 원 대미 투자를 약속한 한국이 이번 사태로 분노와 혼란에 빠졌다는 점을 짚었습니다.

이들은 특히 동맹 관계의 균열을 우려했는데, 대표적인 친트럼프 매체인 폭스뉴스마저 한국인을 대거 구금한 이번 단속이 한미 관계를 뒤흔들었다고 지적했습니다.

트럼프 2기 출범 이후 이민자 추방 정책을 적극 지지해 온 폭스뉴스마저 우려를 표한 건 해외 투자 유치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하지만 이번 단속이 미국인 일자리를 빼앗는다는 불만에서 촉발된 만큼 강력한 이민 단속은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조너선 페이히/전 국토안보부 차관보 (폭스뉴스 인터뷰) : 이번 단속은 이곳에서 합법적인 노동을 보장하기 위한 훌륭한 억지책이었습니다. 불법 체류자는 일할 수 없고, 기업들은 불법 노동자를 고용해 이익을 얻는 것이 금지됩니다.]

국내 여론이 들끓고 있지만, 한국 정부는 경제·안보적 중요성을 고려해 미국에 보복은 하지 않을 거라고 AP통신은 전망했습니다.

(영상편집 : 최진화, 디자인 : 강윤정)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유튜브 구독 500만 이벤트!
SBS 연예뉴스 가십보단 팩트를, 재미있지만 품격있게!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연합뉴스 - 국내최고 콘텐츠판매 플랫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