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내년 예산안에는 산업 활력을 도모하고 사회 안전망을 강화하는 내용도 많습니다. 국민들이 실생활에서 체감할 수 있는 새로운 사업들인데요.
어떤 변화가 있을지, 먼저 박재현 기자의 리포트 보시고, 구윤철 경제부총리와도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기자>
일시적 수요 정체, '캐즘' 현상으로 고전하던 국내 전기차 시장은, 지난달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69% 증가하는 등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정부는 탄소 중립을 가속화 하기 위해, 내연기관차를 전기차로 교체하면 최대 100만 원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2천억 원의 예산이 편성돼 연간 20만 대에 지원이 가능할 전망입니다.
교통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월 5~6만 원으로 대중교통을 최대 20만 원까지 이용할 수 있는 '정액 패스'도 도입됩니다.
저출생, 고령화 대응도 강화했습니다.
육아기 노동자에게 임금 감소 없이 근무 시간을 1시간 줄여주면, 사업주에게 월 30만 원씩, 최대 1년까지 지원하는 '10시 출근제' 사업이 도입됩니다.
현재 7살 이하 아동에게 월 10만 원씩 지급하는 아동수당은 내년부터는 8살까지 확대됩니다.
이재명 대통령의 공약인 농어촌 기본소득도 시범적으로 실시됩니다.
인구 감소 지역 6개 군을 공모해 주민 24만 명에게 월 15만 원을 지급할 계획입니다.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한 청년미래적금도 신설돼, 소득 6천만 원 이하 19~34세 청년이 월 50만 원 한도에서 납입하면 정부가 6~12%를 매칭해 지원하는 방식입니다.
주 4.5일제를 도입하는 중소기업에 월 20~50만 원의 장려금을 주고, 연 매출 1억 400만 원 미만 소상공인 230만 개사에 공과금과 보험료로 사용할 수 있는 25만 원 상당의 경영 안정 바우처도 지급할 예정입니다.
(영상편집 : 정용화, 디자인 : 장예은·이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