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습니다.
인공지능(AI)을 새 성장 동력으로 중점 육성 중인 중국이 과학·기술과 소비, 거버넌스 등 분야에 대한 AI 접목을 가속화하고 국가 차원의 지원 강도를 높이겠다는 로드맵을 발표했습니다.
중국 국무원은 현지시간 26일 공개한 'AI 플러스(+)' 행동 심화 실시에 관한 의견'에서 오는 2027년까지 과학·기술, 산업, 소비, 민생, 거버넌스, 글로벌 협력 등 6대 영역과 AI의 융합을 선도적으로 실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차세대 스마트 단말기와 스마트 시스템 보급률을 70% 이상으로 확대하고, 2030년 보급률 목표 90%를 거쳐 2035년까지 스마트 경제·사회 발전의 새로운 단계로 진입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AI 플러스'는 산업·소비·의료·농업 등 다양한 분야에 AI를 적용한다는 정책으로, 지난해 양회에서 처음 제시됐습니다.
중국 당국은 '의견'에서 기초 과학 연구 플랫폼과 중대 과학·기술 인프라의 스마트화 수준을 높이고 개방적인 고품질 과학 데이터셋을 구축해 AI를 매개로 학제 간 연구 활성화를 이끌기로 했습니다.
바이오 제조·양자 과학, 6세대 이동통신 등 과학·기술 분야뿐만 아니라 철학·사회과학 분야의 AI 융합도 가속할 것이라고 당국은 밝혔습니다.
AI 시대에 걸맞은 새로운 철학·사회과학 연구 조직 형태를 탐색하고 인류의 인식·판단·윤리 규범 등에 AI가 어떤 영향을 주고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등을 연구하고, 관련 AI 이론 체계를 만드는 길도 모색하기로 했습니다.
공업·농업·서비스업 등 전 산업에 걸쳐 인지·의사결정 등에서 AI 기술 활용도를 높이고 인재 풀을 넓힌다는 방향도 재확인했습니다.
아울러 행정 서비스와 사회 치안 관리, 방재 등 거버넌스 분야에서도 AI 활용 폭을 넓히고, AI 오픈소스를 촉진해 컴퓨팅 파워와 데이터, 인재 등 분야에서 국제 협력을 선도하겠다고도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