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젊은층서 '살찐 당뇨환자' 급증…취약계층서 더 많다

<앵커>

중장년층의 만성질환으로 알려진 당뇨병 환자가 30대 미만의 젊은 층에서 빠르게 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특히 저소득층에서 발생률이 더 높은 것으로 드러나 취약계층을 위한 국가 차원의 관리가 시급합니다.

최고운 기자입니다.

<기자>

질병관리청과 국립보건연구원은 2008년에서 2021년까지 13년간 발생한 30세 미만 당뇨병 환자의 임상·역학적 특성을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청소년과 젊은 층에서 2형 당뇨병 환자가 눈에 띄게 늘었습니다.

1형 당뇨병은 자가면역 이상으로 췌장 기능이 손상되면서 생기는 인슐린 결핍이 원인이고, 2형 당뇨병은 주로 비만과 관련한 인슐린 저항성과 분비 부족으로 발생합니다.

2형 당뇨병 환자 발생률은 2008년 인구 10만 명당 27.6명이었는데, 2021년 60.5명으로 두 배 넘게 늘었습니다.

유병률은 73.3명에서 270.4명으로 약 네 배 가까이 급증했습니다.

같은 기간 1형 당뇨병의 경우 발생률은 큰 차이가 없었지만, 유병률은 두 배 이상 증가했습니다.

성별에 따른 차이도 두드러져서 1형 당뇨병은 여성이 26% 더 많았고, 2형은 남성에서 17% 더 많이 발생했습니다.

나이별로 살펴보면 1형은 영유아, 2형은 청소년기에서 큰 증가 폭을 보였습니다.

소득 수준에 따른 차이도 컸습니다.

저소득층은 중·고소득층에 비해 1형 당뇨병이 2.9배, 2형 당뇨병은 3.7배 더 많이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임주현/국립보건연구원 내분비·신장질환연구과장 : 저소득층에 특히 여자아이들 같은 경우는 고도비만인 아이들이 많아요. 아이들 식생활에 대해서 관리를 잘 못 하잖아요. 양질의 음식을 제공 못 받는 데서 오는 영향이 좀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국립보건연구원은 소아와 청년층 당뇨병 증가가 심각한 공중보건 문제로 떠올랐다며, 사회경제적 취약계층을 위한 맞춤형 관리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영상편집 : 원형희)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귀에 빡!종원
SBS 연예뉴스 가십보단 팩트를, 재미있지만 품격있게!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연합뉴스 - 국내최고 콘텐츠판매 플랫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