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상욱의 뉴스브리핑]
인터뷰를 인용보도할 때는 프로그램명 'SBS <편상욱의 뉴스브리핑>'을 정확히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저작권은 SBS에 있습니다.
■ 방송 : SBS <편상욱의 뉴스브리핑> 월~금 (14:00~16:00)
■ 진행 : 편상욱 앵커
■ 대담 : 박수현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 김근식 전 국민의힘 비전전략실장, 양만희 SBS 논설위원
--------------------------------------------
● "정청래와 입장 달라"
박수현 /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
"한미 정상회담 후 여야 대표 만나 '악수'하는 국면 만들 듯"
김근식 / 전 국민의힘 비전전략실장
"이 대통령과 정청래의 정치적 이해관계 안 맞아 보여"
▷ 편상욱 / 앵커 : 이재명 대통령, 기자간담회에서 국내 정치 현안에 대한 질의응답 시간도 가졌죠. 국민의힘 당 대표 선거가 이른바 반탄파 후보들의 대결로 좁혀졌지만 야당 대표와의 대화 의지도 거듭 밝혔습니다. // 박수현 의원, 일단 정청래 민주당 대표. 악수도 사람과 하는 것이다, 이렇게 얘기해서 지금 국민의힘이 굉장히 빈정이 상해 있잖아요. 그런데 대통령은 지금 정반대 얘기를 하고 있지 않습니까. 어떻게 봐야 될까요?
▶ 박수현 /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 : 정반대의 이야기가 아니죠. 만약에 정청래 대표와 정반대 이야기를 했다면 정청래 여당 대표와 대통령의 말이 달라져야 되겠습니까. 이렇게 이야기를 대통령이 하셨어야죠. 그런데 정청래 여당 대표와 대통령의 말은 다를 수 있습니다, 이렇게 이야기함으로써 어떻게 보면 지금까지 정청래 대표의 어떤 스탠스에 대해서 확인해 준 쉽게 얘기하면 오늘 국민의힘 대변인도 논평을 했습니다만 굿캅, 배드캅의 역할이 현재까지는 잘 나눠져 있습니다라고 그렇게 이야기한 뉘앙스로 저는 읽힙니다. 다만 대통령이 강조하신 것은 그러나 대통령이 된 순간 국민의 대통령이 돼야 하기 때문에 여당 대표의 저런 입장은 이해할 수 있지만 그러나 대통령은 달라야 한다, 이렇게 이야기한 것은 아마 저는 개인적으로 예상을 해 볼 때 이제 성과가 좋든 또 아니면 성과를 아니면 좀 실망스럽든 돌아오셔서 이것을 설명하는 자리가 있을 텐데 그 자리에 여야 지도부를 다 부르게 될 것 아닙니까? 그러면 그 자리에서 누가 될지는 모르지만 야당의 대표와 정청래 대표가 비로소 첫 만나게 될 겁니다. 그전까지는 사실은 굉장히 서로 바빠요. 워크숍도 있고.
▷ 편상욱 / 앵커 : 그렇죠.
▶ 박수현 /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 : 민주당의 지방 일정도 있고 그래서 실질적으로 내일 선출되는 야당의 대표가 예방을 온다 하더라도 아마 국회에 없을 가능성이 굉장히 많습니다. 일부러 그런 것은 아니고요. 그래서 처음 만나는 자리는 아마 대통령께서 회담 결과를 설명하는 그 자리가 되지 않을까, 이런 생각을 하는데 그 자리에서 이제 대통령께서 저는 예상해 볼 때 우리 두 분 대표님 이렇게 좀 한미에 가서 어려운 일도 하고 왔는데 이제 민생에 좀 주력하기 위해서 여야가 손을 잡고 한번 이렇게 잘 좀 도와주십시오라고 하는 그런 장면이 자연스럽게 연출되지 않겠습니까. 저는 그 자리를 통해서 이제 여야가 서로의 입장에 대해서는 다 이야기를 했기 때문에 책임 있게 아마 그 자리에서 악수를 하는 그리고 실제로 대화를 하는 국면으로 가지 않을까라고 하는 개인적 예상을 본다는 말씀입니다.
▷ 편상욱 / 앵커 : 그런데 정청래 원내대표가 1시간 전에 SNS에 이재명 대통령의 이 이야기에 대해서 또 자기 얘기를 남겼습니다. 정치와 다르다는 이재명, 새 야당 대표와 대화하겠다. 이 대통령의 당연하고 옳은 말씀이다, 이렇게 얘기를 했어요. 그리고 본문 내용은 더 명징하다. 대한민국 대통령으로서 여야를 다 아울러야 한다. 나는 여당 대표로서 궂은 일을, 싸울 일을 하는 거다. 따로 또 같이.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 박수현 /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 : 방금 제가 드린 말씀을 정청래 대표와 제가 나누고 정청래 대표는 저기에 글을 쓰고. 저는 방송에 나온 거기 때문에 같은 얘기를 하는 거예요.
▶ 김근식 / 전 국민의힘 비전전략실장 : 역시 수석 대변인이 맞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제 대통령이 금방 아까 워딩에서 우리 박수현 대변인은 굉장히 좋게 해석을 한 건데 객관적으로 보면 분명히 그런 워딩이 나오잖아요. 여당 대표와 대통령은 다르다라고 이야기를 했어요. 그러니까 그걸 굿캅, 배드캅으로 좋게 역할 분담을 할 수도 있다고 보지만 지금 정청래 대표의 행보를 보십시오. 여당 대표로 선출된 다음에 야당 제1야당과, 제1야당 개혁신당까지도 포함해서 예방 자체를 안 했어요. 그러니까 자체를 안 했던 경우는 제가 볼 때는 없습니다. 그러니까 시도를 해서 만남이 불발된 적은 있지만 예방 자체를 하지 않겠다고 선언하고 안 만나는 경우는 저는 처음이라고 보고요. 그리고 정청래 대표가 계속 하는 말 있잖아요. 100번, 1000번이고 저 정당한 위헌 정당 해산해야 한다고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그러니까 저는 그런 정청래 대표의 강경한 입장이 지금 일관성 있게 유지가 되고 있는 상황이고 그리고 이재명 대통령은 지금 기내에서 여당 대표 입장은 그렇지만 대통령은 다르다. 당선되면 나는 국민의 대통령이다라고 이야기하면서 선을 그었단 말이에요. 그래서 저는 이건 우리가 정청래 대표의 민주당 당대표 선출 과정을 놓고 민주당 내에 굉장히 섣부른 굉장히 조기에 지금 세력의 균열이 있지 않느냐라는 그런 어간의 분석들이 있지 않습니까. 그런 것까지 우리가 결합해서 보면 저는 이재명 대표 이재명 대통령이 대통령으로서의 여야를 아우르는 통합 리더십을 보여줘야 하는 어떤 의무하고 정청래 당 대표가 지금 갖고 있는 선명하고 강경한 투쟁을 주도함으로써 차후를 준비하는 이런 정치적 이해관계가 제가 볼 때 잘 안 맞아요. 그래서 저는 그 부분에 대해서는 여전히 저는 갈등의 씨앗이 남아 있을 거라고 생각을 합니다.
▷ 편상욱 / 앵커 : 양만희 논설위원, 일단 내일 국민의힘 새 당대표가 결정이 되지 않습니까. 그런데 두 분 다 김문수, 장동혁 이 두 후보 모두 사실상 탄핵 반대 후보라는 말입니다. 정청래 민주당 대표 입장에서 보면 사실은 악수하기 어려운 성향의 두 분 중에 한 분 아니겠어요. 계속 여야 대립이 계속된다, 이렇게 봐야 될까요?
▶ 양만희 / SBS 논설위원 : 그러겠죠. 그럴 것 같고요. 다만 이재명 대통령이 오늘 기내 간담회 발언은 지극히 당연하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만약에 반대 취지로 얘기를 했다면 엄청난 기사가 되겠죠. 그래서 큰 기사가 되지 않는 발언이라고 생각하고 다만 문답 과정을 좀 주목해서 볼 필요가 있는데요. 기자가 탄핵에 반대하는 인사들이 국민의힘의 새 지도부가 되면 그 지도부와 대화하겠느냐, 그 대표와 대화하겠느냐는 질문이었잖아요. 거기에도 대통령이 뭐라고 그랬냐면 탄핵에 반대한다는 것이 결국 내란에 동조한 듯한 정치 지도부와 만나는 것을 말하는 것 아니겠느냐. 그러니까 탄핵에 반대하는 건 내란에 동조한다는 인식을 드러내고 있는 거예요.
▷ 편상욱 / 앵커 : 그렇죠.
▶ 양만희 / SBS 논설위원 : 그러고 나서 뭐라고 그랬냐면 이건 참 어려운 문제다. 그러니까 지극히 당연한 답변을 했지만 사실은 본인으로서도 어려운 문제다. 그리고 무슨 얘기를 했냐면 이 세 지도부가 나중에 어떤 법적, 정치적 제재를 받을지 현재로서는 알 수 없지만 여하튼 나는 만나겠다는 겁니다. 그러니까 법적으로는 이전 지도부가 내란 혐의로 지금 기소돼 있는 사건과 관련돼 있는지 하는 사법적인 제재 대상이 될 수도 있고 또 하나는 지금 민주당에서 계속 얘기하는 것처럼 위헌 정당으로 해산 대상이 된다 는 심판 청구의 대상이 될 수도 있거든요. 그리고 또 하나는 정치적으로 내년 6월 지방선거 그다음에 국회의원 보궐선거에서도 또 역시 심판을 받을 수 있다라고 하는 대통령의 인식을 그대로 드러낸 겁니다. 그러니까 답은 나는 만날 것이다 얘기하지만 사실은 생각은 정청래 대표와는 별 차이는 없다라고 하는 부분을 밝힌 것이다. 이렇게 해석이 됩니다.
※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으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SBS 디지털뉴스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