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중견기업 52% "미국 상호관세 대응한 금융·세제지원 필요"

중견기업 52% "미국 상호관세 대응한 금융·세제지원 필요"
중견기업들은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로 인한 무역·통상 애로 해소를 위해 수출 금융 및 세제 지원 확대를 가장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중견기업연합회(중견련)가 지난달 31일부터 이달 11일까지 수출 중견기업 123곳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타결된 한미 관세 협상 결과에 대해 가장 많은 36.6%가 '일정 부분 손해지만 불가피한 상황이었다고 본다'고 답했습니다.

'불확실성 해소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본다'는 답이 23.6%로 뒤를 이었고, '득보다 실이 크다'는 부정적 답은 21.1%로 나타났습니다.

판단을 유보하거나 잘 모르겠다고 답한 비율은 18.7%였습니다.

한미 상호관세 협상 결과 평가

수익성 확보가 가능한 대미 수출 관세율에 대한 질문에는 '5% 이하'를 꼽은 기업이 41.5%로 가장 많았고, '10% 이하'(25.2%), '15% 이하'(21.1%) 등 실제 관세 협상에서 합의한 15%보다 낮은 관세율을 기대한 중견기업이 87.7%로 압도적으로 많았습니다.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로 인한 경제적 영향에 대해서는 '수출 경쟁력 하락'(32.9%·복수응답)을 꼽은 기업이 가장 많았고, '현지화 필요성 증가'(15.5%), '별다른 영향 없음'(14.3%), '경쟁국 대비 미국 수출가격 경쟁력 제고'(13.0%), '원청의 납품단가 하락 압박'(8.7%), '미국 시장 진출 확대'(4.3%) 등의 순으로 답했습니다.

미국 상호관세 부과로 인한 경제적 영향(복수응답)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에 따른 무역·통상 애로 해소를 위한 정부 지원 방안으로는 가장 많은 52.8%가 '수출 금융 및 세제지원 확대'를 꼽았습니다.

이어 '미국 세관·수입 절차 대응 매뉴얼 및 전문가 매칭'(16.3%), '협상 결과에 따른 피해 업종 대상 보완대책 마련'(11.4%), '미국 수출품목에 대한 관세 정보 및 대응 가이드 제공'(8.1%), 원가 절감 기술·R&D 지원(7.3%) 등을 요구했습니다.

상호관세 부과에 따른 무역·통상 애로 해소를 위한 정부 지원


(사진=중견련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경제 365
SBS 연예뉴스 가십보단 팩트를, 재미있지만 품격있게!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연합뉴스 - 국내최고 콘텐츠판매 플랫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