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의 무역 협상 뒤 발표된 타이완의 20% 관세가 기존 관세에 추가되는 방식이었다는 사실이 뒤늦게 확인됐습니다.
타이완 행정원 경제무역협상 판공실은,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31일 서명한 행정명령에 따라 타이완산 수출품에는 기존 최혜국 대우 관세에 20%를 더하는 ‘누적 부과’ 방식이 적용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렇게 되면 기존 관세가 6.7%인 음료, 식품은 최종 26.7%, 기존 4%인 기계공구는 24% 관세율을 적용받게 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유럽연합에만 관세 합산 상한을 두는 특례가 적용됐고, 타이완은 제외됐다고 공식 확인했습니다.
미국은 한국과 일본에는 15%, 필리핀에는 19%의 관세율을 적용하기로 한 바 있습니다.
타이완 산업계와 노동계는 경쟁력 상실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기계공구업계는 “한국, 일본보다 관세율이 높아 미국 시장에서 가격 경쟁이 어렵다”고 호소했고, 노동계는 주문이 경쟁국으로 넘어가 대규모 실업 사태가 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최근 타이완 달러 절상으로 수출 채산성이 악화된 점도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앞서 미국 정치 전문 매체 폴리티코는 협상 과정을 취재해 "미국 협상팀이 타이완을 레몬처럼 짜내고 있다"는 내부 관계자의 발언을 보도한 바 있습니다.
미국이 타이완 시장에 대한 최대한의 접근 권한을 요구하며 강도 높은 압박을 가했다는 뜻입니다.
타이완 언론은 타이완 정부가 한국·일본 수준인 15% 관세를 목표로 4천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안을 제시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고 전했습니다.
타이완 정부는 이번 20% 관세를 ‘임시 조치’라고 강조하며, 인하를 위한 협상을 계속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타이완 행정원은 금융 지원, 시장 다변화, 산업 고도화, 고용 안정 대책 등 지원 방안을 가동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취재 : 김수형 / 영상편집 : 이승희 / 디자인 : 육도현 / 제작 : 디지털뉴스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