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D리포트] "교사 질식시키는 고교학점제"…한 학기 만에 재검토 요구

고교학점제는 대학교 수강 신청하듯 학생이 진로에 따라 교과목을 선택해 이수하고 누적 학점이 기준에 도달하면 졸업하는 제도입니다.

학생의 진로와 적성에 따른 과목 선택권을 확대하고, 자기 주도적 학습 역량을 강화하자는 취지로 올 3월, 고등학교 1학년을 상대로 도입됐습니다.

그러나 도입 직후부터 교사들을 중심으로 학교 현장을 '극심한 혼란'으로 몰아넣었단 비판이 잇따랐습니다.

[이보미/교사노동조합연맹 위원장 : 고교학점제의 핵심은 다양한 선택 과목 개설입니다. 하지만, 교육부는 교원 증원 없이 제도 시행을 강행하고 있습니다.]

교원 4천여 명이 응답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고교학점제 도입 후 교사 10명 중 8명은 2과목 이상을 맡고 있고, 4과목 이상을 담당한단 교원도 200명이 넘었습니다.

이렇게 담당 과목이 늘면, 깊이 있는 수업 준비가 어렵고, 학교생활기록부에 기록해야 할 과목별 세부 능력과 특기 사항이 많아 부담이 크다는 게 교사들의 주된 입장입니다.

[강주호/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회장 : 교사를 소설가로 만드는 과도한 학교생활기록부 기재 부담을 즉각적이고 전폭적으로 완화해야 합니다. 학생부 기록 부담은 교사들을 질식시키고 있습니다.]

학습 결손의 책임을 교사에게 넘기는 최소 성취 수준 보장 제도나 담임교사의 역할이 축소되는 출결 확인 방식도 개선이 필요한 사항으로 꼽혔습니다.

[박영환/전국교직원노동조합 위원장 : 담임교사는 매일 수많은 교과 교사에게 연락해서 출결 상황을 확인하고 수정 요청해야 하는 등 이중 삼중의 고통을 겪고 있습니다.]

교원단체들은 교과 담당 교원 수를 늘리고 학생부 기록 부담은 줄여야 한다며, 고교학점제 전담 조직을 구축해 현장과 소통하라고 교육 당국에 요구했습니다.

(취재 : 이혜미, 영상취재 : 김용우, 영상편집 : 김종태, 제작 : 디지털뉴스편집부)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귀에 빡!종원
SBS 연예뉴스 가십보단 팩트를, 재미있지만 품격있게!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연합뉴스 - 국내최고 콘텐츠판매 플랫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