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온실가스 못 줄이면…'폭염→열대야→폭염' 최대 66배 증가

온실가스 못 줄이면…'폭염→열대야→폭염' 최대 66배 증가
온실가스 배출량을 못 줄이면 '폭염과 열대야가 나타난 뒤 이튿날에도 폭염이 계속되는 날'이 최대 66배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폭염은 일최고기온이 33도 이상인 경우, 열대야는 밤(오후 6시 1분부터 이튿날 오전 9시까지) 최저기온이 25도 이상인 경우를 말합니다.

어제(3일) 기상청의 '복합 극한기후지수' 전망을 보면 '폭염과 열대야가 동시에 발생한 뒤 다음 날 폭염이 이어지는 경우'인 '복합극한고온일'은 'SSP5-8.5' 시나리오를 적용했을 때 2030년대 5.5일, 2060년대 27.3일, 2090년대 56.2일까지 늘어납니다.

현재(2000∼2019년) 복합극한고온일은 0.85일입니다.

현재 5.55일인 서울 복합극한고온일은 2030년대 15.3일, 2060년대 49.3일, 2090년대 84.8일까지 증가할 전망입니다.

복합극한고온일이 가장 적게 늘어날 강원도 2090년대가 되면 41.2일에 달해 폭염과 열대야가 이어지며 밤낮없이 더운 날이 한 달을 훌쩍 넘길 것으로 예상됩니다.

SSP5-8.5 시나리오는 '산업기술 빠른 발전에 중심을 둬 화석연료를 많이 사용하고 도시 위주로 무분별한 개발이 확대하는 경우'로 현재 430ppm 정도인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2100년 1천89ppm까지 높아질 것으로 가정합니다.

흔히 '고탄소 시나리오'라고 부릅니다.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재생에너지 기술이 발달해 화석연료를 최소로 사용하고 친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을 이루는 경우'인 SSP1-2.6으로 전환하면 복합극한고온일 증가 폭은 확연히 줄어듭니다.

SSP1-2.6의 경우 2100년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432ppm으로 현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봅니다.

SSP1-2.6 시나리오를 적용했을 때 복합극한고온일은 2030년대 6.3일, 2060년대 7.9일로 늘었다가 2090년대 6.5일로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SSP5-8.5와 SSP1-2.6 시나리오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제6차 평가보고서 작성을 위해 마련된 '공통사회경제경로 시나리오' 중 극단적인 시나리오입니다.

탄소 배출량을 서서히 줄이며 기후변화가 완화되고 사회·경제 발전도 중간 수준으로 이뤄지는 이른바 '중간 단계 시나리오'인 SSP2-4.5 시나리오에서는 복합극한고온일이 2030년대 6.4일, 2060년대 14.8일, 2090년대 22.1일로 늘어나겠습니다.

일평균기온과 일강수량이 동시에 상위 20% 안에 드는 날도 기후변화에 따라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런 날은 현재 8.3일인데 SSP5-8.5 시나리오 적용 시 2030년대 12.9일, 2060년대 15.1일, 2090년대 17.9일로 늘어날 전망입니다.

SSP1-2.6 시나리오에선 2030년대와 2060년대 각각 12.8일과 13.6일로 늘었다가 2090년대 13.1일로 다소 줄어들 것으로 예상됩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귀에 빡!종원
SBS 연예뉴스 가십보단 팩트를, 재미있지만 품격있게!

많이 본 뉴스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연합뉴스 - 국내최고 콘텐츠판매 플랫폼
      >